우리 한시 삼백수 : 5언절구 편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엮음 / 김영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 시를 읽는 것도 전 같지 않다. 그러기에 한시는 더더욱 읽을 기회가 없었다. 지난 번 정민 교수의 『우리 한시 삼백수-7언절구 편』(김영사) 이후 종종 읽는 인문학 서적들에 인용되는 한시 외에는 딱히 한시만을 찾아보며 읽는 일은 없었다. 서평을 쓰고 있는 『우리 한시 삼백수-5언절구 편』은 그런 한시 기근에 집중호우처럼 한시를 읽을 수 있게 했다.

  과거 한시란 시험을 위해 외우거나 공부하는 멀리하고 싶은 장르였다. 그러나 그때에 비해 나이 또한 들어가니 한시의 여백을 느낄 수 있는 것 같다. 시간의 흐름이 삶의 여백은 물론, 한시의 여백 또한 공백으로 놔두지 않기 때문이리라.

  평역자인 정민 교수 또한 평설이 대체로 더 길어진 것에 대해 감상자가 채워야 할 여백이 더 넓어졌기에 그렇다고 전한다. 작품은 작자를 떠나 독자에게로 가면 그 때 부터는 독자가 읽기 나름이라 생각한다. 오독 또한 작품을 대하는 방법이 아닐까?

  대체적으로 평설을 참고하며 한시의 여백을 즐길 수 있는 좋은 5언절구의 한시들이 많아 좋다. 읽으려면 한 번에 다 읽을 수 있으나 그렇다면 그 여백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는 일이 되는 것 같아 마음에 드는 구절들은 담아놔야겠다. 가장 처음 나오는 을지문덕의 시편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나 그 연원을 아는 것 또한 좋은 시간이었다.

  주로 익숙한 인물들의 한시를 읽었다. 그중 가장 마음에 드는 구절은 다산 정약용의 한시 <냇물-물속의 바위를 읊다詠水石)이었기에 그 전문을 여기에 옮긴다.

 

냇물 마음 언제나 밖에 있는데

돌 이빨은 괴로이 앞을 막는다.

천 겹의 험난함을 헤쳐야지만

평탄하게 골짜기를 벗어난다네.


泉心常在外 石齒苦遮前

  천심상재외  석치고차전

掉脫千重險 夷然出洞天

   도탈천중험  이연출동천  

​  깊어가는 겨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가 생각나는 여백의 아름다움을 즐기며 한시와 함께 할 수 있는 올 겨울이 되길 바라며 여유롭길 바랄 때마다 이 책을 꺼내 읽어야 겠다는 생각을 하며 『우리 한시 삼백수-5언절구 편』의 짧은 글을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