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는동안 - 부담 없이, 두려움 없이, 재미있게 행복하게 쓰면서 즐기는 만만한 글쓰기
송숙희 지음 / 시디안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쓰는 동안' 제목만을 봤을 때 이 책은 전형적인 글쓰기 책이겠구나? 하는 생각을 가졌었다. 하지만 서점에서 이 책의 위치는(뭐 서점마다 다르겠지만 내가 갔던 서점에는) 한국수필로 분류가 되어 있었다.
 순간 내가 잘못 알았나? 하는 생각을 했지만 이 책의 장르는 읽기 나름이라는 생각을 해봤다. 수필로 읽을 수도 있고, 글쓰기 서적으로 읽을 수도 있다는...
 글쓰기라는 것이 태어나서 한글을 배우고 교육과정을 밟으며 누구나 배우고 지금도 우린 이렇게 글을 쓰고 있다. 하지만 글을 쓴다는 것이 생각하기 나름이겠지만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느낄 것이다. 지금 이렇게 서평이라며 쓰고 있는 글에 대해서도 부담감이 느껴지는 것 또한 그런 맥락이랄까? 문인들이 말하는 백지의 공포에 대한 것들 또한 그런 부담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故 기형도 시인의 「빈집」이란 시에는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라는 문구가 내게는 그런 맥락으로 읽히던 문학 작품의 구절이었다.
 이 책은 읽는 동안 고개를 끄덕이는 시간이 많았고, 빽빽하게 이론을 적어놓은 기존의 글쓰기 관련서적과 달리 각각의 이야기들로 책을 읽는 우리와 담소를 나눈다는 느낌을 받았다. 꼭 글을 잘 써야 된다는 것이 아닌 우리의 부담감을 유연하게 만들어 준다고나 할까? 책의 디자인 또한 그런 면에서 여백을 활용하며 이미지들을 넣으며 현대 독자들에 대한 배려 또한 느낄 수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나에게 기대합니다'라는 제목의 글들이었는데 정말 그동안 나 자신을 너무 무시하고 지내왔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 같다. 왜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는 과대평가를 하면서 나 자신에 대해서는 모든 것들을 날을 세워서 평가절하 하려고 했었는지...또 여전히 그러고 있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이 책은 우리가 글을 쓰는 동안의 여백에 보이진 않지만 우리를 이끌어 가는 이야기들을 저자가 그동안의 글쓰기와 글쓰기 강좌를 통해 들려주고 있기에 이 책의 느낌은 부드럽다. 책의 앞면에 쓰인 제목의 색깔 또한 푸른 새싹을 보는 것 같아 눈 또한 편안했고, 새싹이 땅을 뚫고 나와 처음 세상을 만나는 그 첫마음이야 말로 글을 쓰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잃지 않아야 하는 소중함이란 생각을 해봤다.
 아, 그리고 227페이지의 챕터명이 분명 챕터3인데 챕터1로 인쇄가 되어 있던 것이 눈에 띠었다.
 '쓰는 동안'을 읽는 동안...참, 포근했다.-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