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를 한다는 것 - 소통의 시대에 느림의 철학자 피에르 쌍소가 전하는 “진정한 대화”와 “대화의 행복”
피에르 쌍소 지음, 이진희 옮김 / 드림셀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피에르 쌍소의 『대화를 한다는 것』은 대화의 본질과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 대화라는 것이 단순히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고 깊어지게 만드는 중요한 도구라는 점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을 접하게 된 계기는 최재천 교수님의 추천사였다. "대화를 마친 후에도 여전히 좋은 태도와 관계를 유지하는 비법을 가르쳐 주는 책!"이라는 평은 내가 그동안 느꼈던 대화에 대한 고민들을 다시 떠올리게 만들었다. 평소 누군가와 대화하다가 의도치 않게 상대를 불편하게 하거나, 혹은 나 스스로 상처를 받았던 기억들이 떠올랐다. 대화를 통해 관계를 더 좋게 만들고 싶었던 나에게 이 책은 너무나도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책을 읽으며 특히 기억에 남았던 부분은 대화가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에 더 큰 비중을 둔다는 점이었다. 흔히 대화를 잘한다는 것은 말을 잘하는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저자는 상대의 이야기를 공감하며 듣는 태도가 대화의 본질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우리는 대화 중에 종종 상대방의 말을 귀 기울여 듣기보다, 나의 말을 준비하거나 어떻게 반응할지를 고민하곤 한다. 그러나 저자는 진정한 대화는 그런 계산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이야기에 진심으로 공감하고 함께 의미를 만들어가려는 태도에서 시작된다고 이야기한다.

  또, 대화가 실패했을 때의 사례를 다룬 부분도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우리는 의도치 않게 상대를 오해하거나, 감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관계가 틀어지는 경험을 하곤 한다. 나 역시 이런 이유로 가까웠던 사람들과 멀어진 적이 있어, 이 부분을 읽으며 나의 대화 방식을 돌아보게 되었다. 저자는 대화의 실패를 피하려면 감정 조절과 자기 성찰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대화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다리를 놓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현대 사회처럼 빠르고 효율적인 소통에 익숙해진 시대에서 이 책이 강조하는 진정성 있는 대화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게 아닐지...


  피에르 쌍소의 『대화를 한다는 것』은 대화를 통해 관계를 더 깊게 만들고 싶은 이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책 속의 구체적인 사례와 깊이 있는 통찰은 대화의 기술을 넘어 삶의 태도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다. 책을 읽으며 나 역시 대화의 순간마다 내가 얼마나 상대방에게 진심으로 다가가고 있었는가에 대해 돌아보게 된다. 이 책은 대화를 통해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