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이노의 비가 을유세계문학전집 140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음, 안문영 옮김 / 을유문화사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이름을 처음 접한 것은 윤동주 시인의 시 「별 헤는 밤」에서였던 것 같다. 단순히 이름만 알고 있다 그의 시를 처음 접한 것은 「가을날」이었다. 그 후로 몇몇 시편을 봐왔을 테지만 여전히 릴케 하면 생각나는 시는 '가을날' 말고는 명확하게 떠오르지 않았다. 시를 전공하며 릴케의 시보다는 산문을 더 접하게 됐다. 성년 선물로 받았던 『말테의 수기』, 군대를 전역하고 다시 시 공부를 하며 읽었던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로 릴케는 김민섭 작가의 말처럼 '느슨한 연결'된 상태를 이어왔는지 모른다.

시인의 시집을 제대로 읽지는 않았어도 생애를 통해 익숙하게 봐왔던 『두이노의 비가』는 언제고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에야 그 기회가 왔다. 탄생 150주년을 맞이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 알게 될 정도로 가벼운 느슨한 연결이라 할 수 있겠다.


  책은 「두이노의 비가」와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 『두이노의 비가』부록의 세 부분으로 크게 구성된다. 오랜만에 소네트 형식의 외국 시를 읽게 된다. 최근 접하는 산문시와 또 다른 시인의 시. '두이노'라는 장소가 어디인지는 모르지만 이제는 세일 요트인이라 '아드리아 해안'이라는 장소명을 들으면 떠오르는 바다가 있으나 그런 풍광 속 폐허의 이미지의 분위기는 얼마나 스산했을까?

  「두이노의 비가」는 릴케의 영혼의 사유가 담긴 걸작으로 느껴진다. 인간 존재의 고뇌와 희열을 시적으로 탐구하는 듯하다. 제1비가는 인간의 고통과 외침으로 시작해 삶의 무게를 노래하고, 제2비가에서는 사랑의 복합성과 상처를 성찰한다. 제3비가와 제4비가는 죽음과 자연 속에서 인간의 위치를 탐색하며, 제5비가에서 등장하는 천사는 초월적 이상과 인간의 한계를 대조한다. 제6비가에서는 고독 속에서 자아를 발견하고, 제7비가에서는 예술의 힘과 한계를 담담히 고백한다. 제8비가부터 제10비가까지는 삶과 죽음, 순간의 가치, 그리고 새로운 희망의 메시지로 마무리되며, 인간 존재의 영원한 질문을 던진다. '두이노'의 스산한 풍경이 이 시의 서정적 배경이 되어, 인간의 내적 고뇌와 초월적 희망을 조화롭게 다가오는 듯했다. 이러한 비가들은 독자에게는 시인의 고독과 사유를 깊이 느끼게 하며, 삶의 본질에 대해 다시금 고민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지...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는 릴케의 시적 영감이 절정을 이룬 작품으로 예술과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내용이다. 이 소네트에서는 음악의 신성함과 창조적 행위의 힘이 중심이 되며, 오르페우스라는 신화를 통해 예술의 영원성과 삶의 덧없음을 표현한다. 소네트 속에서 릴케는 순간의 아름다움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영속적 울림을 노래하며, 예술이란 죽음마저 초월하는 영혼의 메아리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시편은 독자들에게 예술적 감동과 동시에 삶과 예술의 상호작용에 대한 깊은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듯했다.

  『두이노의 비가』 부록에 수록된 세 작품 또한 릴케의 사유와 감성이 오롯이 담긴 글들로, 그의 세계관을 더욱 풍부하게 느낄 수 있었다.


  릴케와의 느슨한 연결로 시작된 여정은 결국 그의 대표작을 만나는 기회로 이어졌다. 「두이노의 비가」는 인간 존재의 고뇌와 희망을 탐구하며, 「오르페우스에게 바치는 소네트」는 예술의 본질을 통해 깊은 사유를 전달한다. 부록의 세 작품은 릴케의 세계를 풍요롭게 보완하며, 독자에게 삶과 예술, 존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안겨준다. 탄생 150주년을 맞아 읽게 된 릴케의 작품들은 그의 시적 유산의 무게와 아름다움을 다시금 느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줬다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