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먹히는 글쓰기 끌리는 말하기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글쓰기와 말하기
김대근 지음 / 보아스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YTN 뉴스는 그리 보지 않았기에 저자가 낯설다. 하지만 글쓰기 책에는 항시 관심을 갖는 내게 추가적으로 말하기까지 다루는 책은 관심을 더했다. 제목보다는 '글쓰기와 말하기에 정답은 없지만 정도는 있다'는 표지 하단의 멘트에 더 끌렸다. 정답은 없지만 정도는 있기에 나 역시 글과 말은 쓰고 말할수록 는다는 것에 평소 동의를 하였기에 방송기자이자 앵커의 글쓰기와 말하기는 뭐가 다른지 알고 싶었다.
책은 '글은 곧 그 사람이다', '말은 세상과 소통하는 창이다'라는 글과 말이 각 파트를 나눈다. 그리고 글과 말에서 각 2개씩의 장을 둔다. 1장은 내가 끌렸던 표지의 글이었다. 2장은 실전 글쓰기 노하우를 다룬다.
1장의 글들을 읽으며 비슷한 또래의 저자의 삶과 내 삶을 돌아본다. 수월한 길로 시작했기에 오히려 지금까지 안정적이지 못한 것은 아닌지를... 그러나 그의 글들을 읽으며 비슷한 고민은 했었던 것을 보면 나는 전공과 관련이 없는 일을 하면서도 꾸준히 그 맥을 이어가고 있었다는 것도 알게 된다.
2장을 읽으며 합평회의 모습은 과거했었던 시 합평회를 떠올리기도 했다. 학창 시절과 대학 이후의 합평회의 차이가 떠오르게 된다. 기자의 글쓰기와 그렇게 또 다르지도 않음도 확인하게 된다. 결국 글로 생활을 하는 이들에게 일상화의 중요성은 무뎌지거나 녹슬지 않는 칼을 단련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도 공감하게 된다. 언론사 시험을 준비해 본 적은 없으나
1부에서 저자의 글쓰기 노하우를 잘 활용해 익힌다면 실질적인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1부 끝에 TIP으로 나오는 '합격을 부르는 자기소개서 쓰기'는 자기소개서가 자신 없는 이들이 읽어보면 좋을 내용이다.
2부에서는 말하기와 관련된 내용들을 만나게 된다. 일화와 함께 소개가 되기에 거의 20년 정도 지난 지인과의 이야기가 떠오르기도 했다. 에피소드의 힘 때문인지도 모른다. 앵커와 관련된 직종에 있던 지인이라 저자의 책을 읽으며 당시의 에피소드가 떠오른 것 같다. 분명 필요하지만 간과하게 되는 내용들을 저자 본인의 일화와 함께 소개하고 있기에 딱딱하지 않게 다가갈 수 있다. 3장이 전반적인 말하기에 대한 부분이었다면 4장은 말하기 전문가(앵커)로서의 경험이 녹아 있는 실전에서 겪으며 체득한 내용이 이어진다. 2부 마지막 TIP에 '반드시 선택받는 면접의 기술'을 통해 전달된다.
글쓰기와 말하기를 한 권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은 방송 기자이자 앵커였기에 가능했던 게 아닌가 싶다. 정답은 없으나 정도가 있는 그 길을 먼저 걸어간 저자의 노하우를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던 시간이었다. 글쓰기와 말하기를 잘하고 싶은 사람들과 특히 언론사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현업에서 활동 중인 방송기자의 노하우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