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
엔도 슈사쿠 지음, 송태욱 옮김 / 포이에마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도교 가톨릭 신자로 저자의 소설 『침묵』을 읽으며 느낀 바가 있었다. 지난해 다시 영화로 개봉한 <사일런스>를 보며 영상으로 그려지는 원작의 이미지를 떠올려 보기도 했다. 이런 소설을 쓴 저자는 어떤 사람이고 그의 문학 세계관은 어떤지 궁금하기도 했기에 『엔도 슈사쿠의 문학 강의』를 읽게 됐다.
  첫 부분부터 『침묵』에 대한 강연 내용이 나오기에 참 만족스러웠다. 잊고 지냈던 용어 '후미에'에 대해서도, 어떻게 소설을 쓰게 됐는지와 내가 생각했던 의미와 맞는지도 듣고 싶었다. 종교적인 부분을 떠나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상징적 요소 '후미에'의 의미에 대해서도 공감하게 된다.
  이후 '문학과 종교 사이의 골짜기에서'라는 여섯 번의 강의 내용이 나온다. 익숙한 이름의 앙드레 지드의 작품이 있기도 했지만 대부분 내겐 생소한 작가들의 작품들이 주된 텍스트로 소개가 된다. 각각의 텍스트 안에서 그리스도교적인 내용들을 드는 저자의 논리에 어떤 부분은 수긍을 하면서도 어떤 부분에서는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이 부분을 읽으며 신앙을 가진 작가에게 종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생각을 하게 된다. 나 또한 가톨릭 신앙을 가지고 있기에 그런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의지가 강한 자와 나약한 자가 만나는 곳'에서는 과거 저자의 작품 『침묵』에서 책 속 강연에 새로 소개하는 신작 『사무라이』에 대해 전한다. 내용 중 예수님의 제자들이 예수님을 떠나 도망치는 나약한 자들이었으나 결국에는 예수님 말씀을 전파하다 각각의 장소에서 박해를 받고 죽어가는 의지가 강한 사람이 되어간다는 내용이 나온다. 신앙을 처음 접하고 많이 흔들리는 시기가 있지만 스며들듯 빠지며 단단해지는 신앙생활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부분이다. 『사무라이』는 읽어보지 않았으나 처음 타의에 의해 받아들인 신앙을 버릴 수 없게 된다는 내용을 짐작하며 『침묵』과의 연계선상에서 대충 짐작은 할 수 있을 결말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강연 중 저자의 유머러스함을 느낄 수 있었고, 『좁은 문』이 그리스도교와 플라토닉 러브를 풍자하고 비판했다는 부분은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또 너무 가볍지 않은 저자의 내공이 담긴 강연을 모아둔 책이었다. 엔도 슈사쿠의 문학 세계관을 조금이라도 엿보고 싶은 이들이라면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 전하며 리뷰를 줄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