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소고기는 비싸고 고급스러운 음식의 대명사다. 살아서는 농사를 짓는 데 큰 도움을 주었고, 죽어서는 단백질의 원천이자 특유의 고소한 풍미로 입맛을 사로잡았던 소.

공평동 유적은 솔선수범을 해야 할 관리들이 대놓고 관청에서 고기를 잡고 회식을 한 흔적이다. 사료에 따르면, 제사를 지낸다는 핑계를 대고 소를 잡아먹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국제적으로 공인된 한우는 황우, 칡우, 흑우, 제주 흑우로 크게 네 종류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황우만을 한우로 표준화함에 따라 한우의 다양한 유전자풀이 고립되었고, 이후 전통 소의 명맥이 끊겨버렸다.

한우가 앞으로도 계속 사랑받으려면 다양한 요리법만큼이나 품종을 개량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 소 복원 작업과 한우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려는 노력도 이를 위한 방편들이다.

선생님은 힘든 발굴이 끝나고 나면 한적한 시골 마을의 단칸방에서 꼬시래기*라는 잡어의 막회를 소주에 곁들여 먹으며 세상을 다 얻은 것 같은 행복감을 느꼈다고 했다. 고고학자라면 누구나 느끼는 행복한 시간이다.

지금은 해초류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1960년대까지 남해에서 꼬시래기라 불리는 물고기가 있었다. 전문용어로는 문절망둑, 즉 망둥어다.

인간에게 죽음만큼 두려운 일은 없다. 하지만 인간은 죽음을 통해 남은 자들의 삶을 결속했다. 라틴어 격언 중에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라는 말이 있다. ‘죽음을 기억하라’는 뜻의 이 격언은 역설적으로 ‘사는 동안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강조한다. 제사는 인류가 메멘토 모리의 교훈을 실천하는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진정한 술 애호가의 첫 번째 조건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 준비와 절제가 아닐까? 여기에서 준비라 함은 평소 체력 관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또한, 절제는 순간의 기분에 휩싸여 과음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이 정도의 주도(酒道)를 갖춰야 술을 즐길 자격이 있다고 하겠다.

위스키의 본고장이자 술꾼 많기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에서는 해장술을 ‘개털(hair of the dog)’이라고 한다. 늑대 같은 맹수에게 물린 상처는 그 짐승의 털을 문지르면 낫는다는 미신에서 비롯된 말로, 쉽게 말해 ‘술병은 술로 고친다’라는 뜻이다.

지금 당신이 마시는 한 잔의 술이 더욱 행복한 이유는 아마도 내일의 따뜻한 해장국이 있기 때문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