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수영 보련암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내생각: 작가가 뭣도 모르고 그렇게 썼다.
이때 내아(內衙)에서 술상이 나오거늘 한 잔 먹은 후에 통인과 방자 물려 준다. 술기운이 도도하야 담배 피워 입에다 물고이리저리 거닐제, 충청도 공주수영(水營) 보련암(寶蓮菴)이 좋다 하나 이곳 경처 당할쏘냐. 붉을 단(丹) 푸를 청(靑) 흰 백.. ..
<춘향전, 21페이지>
충청도 공주 수영 보련암.
도대체 여기가 어디인가?
충청도에 수군절도사는 보령 오천에 있었다.
경상, 전라에는 좌, 우수사가 있었지만 충청엔 충청수사 하나.
충청수영성 영보정. 보령시 오천면 오천항에 있다.
충청수영 영보정
오천항이 내려다 보이는 충청수영성 언덕에 위치하는 누정으로 1504년(연산군 11) 수사 이량이 지었으며 이후에 계속 보수와 개축이 이루어졌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큰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조선시대 많은 묵객들이 이곳을 찾아 시문을 남겼다. 백사 이항복과 다산 정약용은 이곳을 조선 최고의 정자라고 칭송했다고 전해진다.
조선 말 충청수영이 폐지되면서 1878년 영보정도 화재로 소실되고 터만 남아 있었는데 2015년에 영보정을 복원하여 예전의 모습을 되찾았다.
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m.viva100.com/view.php?key=20220708010001343
춘향전에 나온 ‘츙쳥도 고마수영 보련암’에 대하여, 공주대학교 강헌규
춘향전, 춘향수절가에는 전라도의 광한루와 오작교에 해당하는 경치가 아름다운 곳은 고마 수영 보련암이라는 말이 있다. 충청도에 있는 [보련 암자] 물론 고마수영이나 보련암이 아름다운 곳이라 할지라도 광한루나 오작교가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글쓴이의 관심사는 고마수영과 보련암 지명의 위치를 찾는 것이다.
저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마수영[고마해군본부]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에 있었다.
2. 보련암:기록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장소를 알 수 있다.
①경북 문경군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 옆에 있다.
① 동산의 가슴 우장동 마을 풍산리에 있다. 강원도 화천군 군내면. 그런데 이 두 보련암은 춘향전의 보련암이 아닌 것 같습니다.
3. 증거가 있다 하더라도 ‘보련암‘은 ‘영보정‘의 옛 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변경에 대한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련암(보련)→영보(보련)정
이러한 변화는 불교의 지배를 받는 고려 사회에서 유교의 지배를 받는 조선 사회로의 이념적 변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