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 연암 박지원이 가족과 벗에게 보낸 편지 참 우리 고전 6
박지원 지음, 박희병 옮김 / 돌베개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정말 기맥히게 끝내주는 제목이다. 🤩🤩

저자 박희병 선생께서 밝힌 책머리에 의하면 돌베게 한철희 사장의 작품이란다.
정말 어떻게 이런 제목이 나올수 있는지...
인문학적 내공이 얼마나 깊어야 저런 제목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존경스럽습니다.

자식들 공부에 대한 걱정이 글 가득히 담겨 있다. 편지 마지막의 손수 담근 고추장 이야기는 읽는 사람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연암은 9년 전인 1787년 부인이씨를 저세상으로 떠나보냈다. 51세 때다. 연암은 그 후 죽을 때까지 재혼하지않고 혼자 살았다. 이 때문에 서울 집의 자식들을 더욱 각별히 챙기게 된 건지도모른다.
연암은 공무의 사이사이 겨를이 생기면 혹 글을 짓기도 하고 혹 법첩(法帖)을 갖다 놓고 글씨 연습을 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연암이 안의 현감을 할 때 주자(朱子)가 편찬한 역사서 『자치통감강목,
을 초록까지 해가며 열심히 봤다는 대목은 주목을 요한다. 이 책은 특히 춘추대의와 명분을 강조한 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연암의 사상이 춘추대의를 강조하는 쪽으로 바뀐 것 같지는 않다. 연암은 이 책을 주로 경세적(經世的) 측면에서 읽었던 게 아닌가 생각된다.
- P2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버 2021-08-29 12: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고추장 한 단지에 담긴 부모로서의 사랑이 뭉클하네요!

대장정 2021-08-29 13:08   좋아요 2 | URL
연암은 반남박씨 명문가지만 지금 평가받고 있는 명성에 비해 부침이 많은 삶을 살아선지 더 가슴이 뭉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