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이스라엘이 세워진 땅은 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오랜 세월 속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이 살았던 곳이다.  물론 성서를 통해 알고 있듯이 더 오랜 세월 속에서는 이스라엘인들이 살았던 곳이나 로마와의 마사다 전투에서 패해 유대인들은 세계 곳곳으로 흩어져 살게 되었다.  그러던 중 2차 대전에서 히틀러에 의해 수많은 유대인이 학살되고 이 사건을 통해 세계의 동정심을 호소하며 유대인들은 레반트 지역에 이스라엘 건국을 원하게 된다.  그들, 이스라엘 민족지도자들은 영국에게 전쟁 비용을 지원해주는 조건으로 영국군이 주둔해 있는 현 이스라엘 땅을 되돌려 받고자하는 협상을 시도하고, 2차대전이 끝나자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들의 이주와 동시에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하게 된다. 

 팔레스타인들은 얼결에 몇 천 년을 살았던 땅에서 내쫓김을 당함으로 수많은 난민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런 역사적 배경은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그들 사이의 끊임없는 피로 얼룩진 분쟁의 원인이 되어오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한다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전쟁은 1947년 유엔이 팔레스타인 지역의 일부를 유대인들에게 할당하면서부터였다.  이듬해 이스라엘이 건국되면서 아랍 연합군과의 1차 중동전이 시작되었고. 1973년까지 4차에 걸친 중동전을 치르게 된다.  그리고 1982년 이스라엘은 레바논과 전쟁을 하게되었다.

  수년째 레바논으로부터 북부지역을 폭격 당했던 이스라엘은 1982년 7월 레바논과의 전쟁을 통해 남부를 점령한다.  요르단에 있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본부가 레바논에 자리를 잡고있어 그 기구의 제거와 시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베이투트와 레바논 남부를 공격했던 이스라엘은 당시 이스라엘의 국방장관이었던 아리엘 샤론이 베이루트 점령 후, 자신과 기독교 동맹인 바시르 제마엘을 레바논 대통령으로 지명한다.  레바논의 무장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공격이었지만 이 시기 그들은 베이루트에서 튀니지로 퇴로를 확보한 상태였기에, 레바논에는 더이상 무장세력의 위협은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 같다.   그럼에도 공격을 감행했던 이스라엘은 대통령으로 세우려던 바시르가 취임을 앞두고 폭탄테러를 당해 살해되고 만다.  그날 오후, 이스라엘군은 베이루트 지역에 있는 사브라와 샤틸라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포위했고, 지도자를 잃은 팔랑헤당 민병대는 이스라엘군이 쏘아주는 조명탄 아래에서 난민촌으로 들어가 대학살을 자행한다.  기독교 민병대의 난민촌 집입 목적은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을 잡기위함이었지만 실상 그곳에는 늙은 노인들과 힘없는 여자 그리고 아이들이 있을 뿐이었다.  전 세계를 놀라게 했던 그 대학살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것이 바로 <바시르와 왈츠를>이라는 이 만화로 그려진 책이다.  뒷장에는 그때의 학살된 난민촌 사람들의 사진이 실려있는데, 그 사진을 보고있자니 전쟁에 대한 두려움에 휩싸이게 된다.   

 

  우리에게도 학살이라는 것에 대한 기억이 있다.  제주 4.3 사건을 이야기해보자면, 1948년 3월 1일 제주읍 관덕정 마당에서 3.1절 기념집회에 참석한 시위군중을 향해 경찰이 총을 쏘아 6명의 희생자가 발생하는 사건이 일어났고, 그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4월 3일 제주도 전역에 걸쳐 무장봉기가 일어난다.   제주도민들은 남한의 단독 정부수립과 단독 선거 반대투쟁에 나서고 있었을 뿐이었는데 정부는 좌익의 책동으로 몰아세우고, 이에 미군은 8개 중대 규모의 경찰병력을 제주도에 투입하였고, 남한정부가 수립된 11월부터 4개월 동안의 초토화작전으로 160여 마을 가운데 130여 마을의 주민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학살되거나 재산상의 피해을 입었다고 하며, 이 집단학살에서 최소 3만여명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좌익무장대 사령관 김달삼과 제주 주둔 연대장 김익렬이 48년 4월 28일 전투중지와 무장대 해산 등의 평화협상을 합의했으나 정부는 그런 김익렬을 해임시키고, 11월 초토화작전을 좌익빨치산의 피난처와 물자공급원을 제거한다는 목적으로 강경한 진압을 보이며 제주도민을 학살한 것이다.   그 외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양민학살사에대한 내용을 더 알고싶다면 김상웅의 <해방 후 양민학살사>를 읽어보면 될 것 같다. 


전쟁을 경험해보지 않았기에, 그것이 안겨주는 두려움과 고통, 충격에 대해 뼈져린 와닿음을 느껴오지 못 했었다.  하지만 이 책 <바시르와 왈츠를>를 읽으면서,  전쟁 그 한 중간에 놓여져 삶을 살았냈던 사람들을 생각해보면 희생자든 가해자든 방관자든 그 기억은 평생을 칠흑같은 암연에 감금당하는 일인 것 같다.   
   이스라엘은 1982년 레바논과의 전쟁과 이어진 대학살로 인해 결과적으로 레바논에 과격테러단체인 헤즈볼라가 생겨나게 만들었고, 그들이 이스라엘 병사 2명을 납치한 것이 계기가 되어 최근 레바논과의 전쟁을 일으켰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과의 분쟁은 시온주의와 아랍민족주의의 충돌과 영토에 관한 것이다.  무엇이 그 이유가 되었든 가장 큰 피해자들은 그들이 만들어낸 그 이유들에 휘둘려야 하는 힘없는 시민들이 아닐까 싶다.  왜 끔찍한 붉은 피는 이유를 만들어낸 그들이 아닌 힘 없는 시민들이 흘려야 하는 것인지 이 책을 통해 알게된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붉은 피나, 우리 역사 속의 양민 학살의 붉은 피들이 여며지는 가슴으로 더욱 검붉게 느껴지는 시간이다.       


posted by 푸른물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