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소설>의 경계를 넘나든다는 것은 위험하다. 철학은 개념으로 말하고, 문학은 이미지로 말하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두 가지 모두 잃기 십상이다. 두 영역의 문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철학 소설이나, 철학적인 내용을 전달하려는 소설들은 이 문법적 거부감을 극복하지 못하고 대부분 실패했다. 하지만 철학의 개념을 보존하면서도 소설의 이미지를 창조할 수 있다면 두 가지를 모두 갖출 수 있다.
<드림위버>(다른)는 소설로 읽는 철학책이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소설적인 특징을 철학적인 특징에 묘하게 결합시켰다는 점이다. 소설에서 가장 다루기 힘든 것 중의 하나가 ‘상황설정’인데, 철학사를 다양한 소설적 상황으로 볼 수 있어서 의미가 분명히 들어왔다. 많은 철학자를 등장시키지만, 주인공은 자신의 세계로 철학자들을 이해하고 현실에서 만나는 일상적인 상황 속에서 철학사를 온전히 재현해 낸다.
특히 <드림위버>가 창조했다고까지 할 수 있는 재미있는 장치는 ‘꿈’과 ‘현실’의 토론이라는 형식이다. 주인공은 꿈속에서 만난 노인을 통해서 회의주의와 역설이라는 난감한 상황을 맞지만, 현실에서는 엄마아빠와의 토론을 통해 온건하고도 현실적인 관점을 회복하게 된다.
예컨대 모래더미에서 모래 알갱이 하나를 아무리 여러 번 빼도 그것은 더미라고 결론내릴 수밖에 없다는 노인의 명제에 대해서, 현실의 아버지는 '모호한 언어'를 가지고 반박한다. 즉 단어가 아무것도 배제하지 않고 모든 것을 포함한다면 결국에는 아무 의미도 갖지 못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398쪽)
이 꿈과 현실의 토론이라는 과정은 정반합이라는 변증법의 모양을 이룬다.
▲ 1만개의 모래알갱이로 이루어진 모래더미가 있다고 했을 때, 여기서 1개의 알갱이를 뺀다고 해도 모래더미가 없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1개씩, 1만번 반복해서 모래알갱이를 줄여간다면 어느 새 모래더미는 형체도 없이 사라질 것이다. 이 때 '더미'란 모호한 용어로 명확한 개념을 설명하기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