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는 생각할 수 있을까?
앨런 튜링이라는 사람은 이 문제에 답할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테스트(일명 튜링 테스트)를 개발했다.
테스트에서 인간 심사위원이 두 실체(인간과 컴퓨터)와 각각 대화해 보고 둘 사이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테스트에 합격한 것으로 간주되어 생각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보편 컴퓨터를 구상했던 알랜 튜링
튜링은 다른 많은 컴퓨터 선구자들과 마찬가지로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데 관심을 가졌고, 범용 계산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튜링은 이 가상의 구조물을 ‘보편 기계’라고 불렀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컴퓨터’라는 말이 ‘계산하는 사람’을 뜻했기 때문이다.
튜링 기계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위해, 두루마리 종이에다 계산을 하는 수학자를 생각하자. 두루마리가 무한히 길어서 쓸 곳이 모자랄 걱정은 없다고 하자. 튜링은 영리한 수학자가 할 수 있는 계산은 어떤 것이든, 멍청하지만 세심한 사무원의 규칙에 따라 두루마리에 정보를 읽고 쓰기만 하면 풀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사실 그는 사람인 사무원을 유한 상태 기계로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참 재밌는 것은 생각하는 기계와 기계처럼 재깍거리는 사람이다. 스피노자는 사람이 반자동 기계와 같아서 하나의 행동을 입력하고 나면 합리적인 이유가 있어도 좀처럼 바꾸지 않는다. 내 은사님이 화선지를 사는 곳은 거리가 먼 A라는 가게였는데, B라는 가게가 오픈해 가깝고 싸게 물품을 구입할 수 있음에도 화선지만은 꼭 A라는 가게만 썼다고 한다.
도전하는 컴퓨터의 이야기는 무수히 많이 영화로 만들어 졌다. 터미네이터 시리즈가 그렇고, AI나 아이로봇 같은 것이 생각하는 기계를 보며 만든 작품이다.
그나저나 튜링의 컴퓨터 대회는 아직도 하고 있을까?
1991년부터 케임브리지 행동발달 연구센터는 해마다 콘테스트를 개최해 왔다. 인간의 대화와 가장 근접한 대화를 한 컴퓨터에게는 2천 달러가, 인간의 대화와 구별이 안 가는 대화를 한 컴퓨터에게는 2만5천달러가 주어진다.
※ 위 글은 드림위버(다른출판사)와 사이언스북을 참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