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명문가‘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을 좋아한다. 그들은 돈만 많은 부자가 아니요, 한 두 세대 정치 권력을 잡은 이들도 아니다. 누대에 걸쳐 가풍을 만들고 정치나 사회적으로 선한 영향력을 미친 가문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과연 그들에게는 일반 가문이나 집안과는 다른 무언가가 있다. 이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이들이 이미 좋은 책을 냈다. 이 분야의 훌륭한 선구자인 조용헌은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와 <조용헌의 명문가>를 냈다. 이어 최효찬도 <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과 <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을 출간했다. 전자가 주로 풍수지리나 인물의 입장에서 접근했다면, 후자는 주로 교육적 입장에서 논하고 있다. 큰 틀에서는 명문가들을 중심으로 사회지도층의 올바른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있다. 흥미롭게 읽은 책들이다.반면 <조선명가 안동 김씨>는 조선 후기 최고 가문으로 부상한 안동 김씨 집안만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당연히 누구를 시조로 하여 어떠한 경로를 통해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까지 오를 수 있었는지 앞서 언급한 책들에 비해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다. 고려 초에 시작된 안동 김씨는 조선 전기에야 안동을 떠나 서울에 자리잡게 된다. 그저 그런 평범한 양반 집안이었지만 병자호란을 거치며 세인들에게 명확히 이 집안은 각인된다. 항복을 거부하고 자폭해 죽은 김상용과 화친을 거부하며 끝까지 항거를 주장한 김상헌 두 형제에 의해 가문은 이름을 날리게 된다. 그들의 자손인 김수항, 김창집, 김조순 등이 차례로 정승이나 권력의 정점에 오르며 조선 후기 최고 가문이 된다. 다소 불명예스런 이름이기도 하지만 정조 사후 시작된 세도정치 60년 동안에는 안동 김씨는 왕권을 능가하는 위치에 서게 된다. 이후 김옥균이나 김좌진과 같은 인물도 배출된다.위와 같은 사실들을 알게 된 점도 좋지만 안동 김씨가 단순히 정치 권력 쟁취를 통해 명문가 된 점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들은 몸소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이를 사회가 인정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왕이나 양반 사대부들도 동의했다. 후손들은 조상의 유산이 자신들에게는 짐이 될 수 있었으나 이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것이 세도정치의 이름으로 더럽혀지기도 했으나 자신들 어깨에 올려진 전 세대의 업적을 자신의 대에서 바로 갈아 엎지는 않았다. 어쩌면 자신들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조선은 이들 어리석은(?) 후손들 탓에 19세기 변화의 흐름을 놓치고 수동적 개방 및 근대화의 길로 나서게 된다. 재밌게 읽었다. 새롭게 안 사실도 많다. 15명의 정승, 35명의 판서, 6명의 대제학, 3명의 왕비를 배출한 집안이라면 눈길이 가지 않는가? 게다가 왕의 총애를 업고 절대 권력을 휘두른 그들이기에 더 읽고 싶어졌다. 어쩌면 이 책을 통해 조선의 역사에 대한 남다른 시야를 가지게 될지도 모르겠다. 사실 이 책은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1000원에 산 것이다. 제값 이상의 가치를 내게 주었다.
읽는 사람 마음이겠지만, 윤동주의 시는 적적한 가을밤에 잘 어울린다. 무심히 꺼내 읽자니 시대의 우울과 아픔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 나란 인간은 위기 상황에 직면하면 회피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에 윤동주의 소극적(?) 저항를 지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의 시적 감수성과 내면의 예민함은 그대로 인정하여 그의 감정을 그대로 느끼고자 한다. 여전히 가슴 한켠이 아리다. 나의 아픔이 아닌 그의 아픔인데도. 이런 시의 언어는 나를 힘들게 한다.
읽는 사람 마음이겠지만, 윤동주의 시는 적적한 가을밤에 잘 어울린다. 무심히 꺼내 읽자니 시대의 우울과 아픔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 나란 인간은 위기 상황에 직면하면 회피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에 윤동주의 소극적(?) 저항를 지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의 시적 감수성과 내면의 예민함은 그대로 인정하여 그의 감정을 그대로 느끼고자 한다. 여전히 가슴 한켠이 아리다. 나의 아픔이 아닌 그의 아픔인데도. 이런 시의 언어는 나를 힘들게 한다. https://youtu.be/WsgKWqXR5CI
과거에는 나의 주요 답사처가 절집이었다. 하지만 근래 들어서는 점차 서원을 자주 찾고 있다. 나의 이런 변화는 독서 습관이나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즉 고대사 중심에서 조선이나 근현대사 위주로 역사의 시야가 옮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연 그 시대를 바라보는 인식에도 변화가 생겨 사원보다 양반 사대부들의 행동 양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올 여름의 짧은 안동 여행에서 소수서원, 병산서원 및 도산서원을 들른 것은 그 일환이었다. 세 서원에서 느낀점은 단순히 교육, 제사, 연구 등 서원의 본래 의무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곳을 만들고 운영한 이들의 손길과 정성이 곳곳에 녹아 있음을 몸소 느꼈기 때문이다. 특히 도산서원에서 퇴계가 제자들에게 쏟았을 그 열심이 내게 와닿는 듯했다. 그곳에서 나는 잠시 퇴계가 내 스승인 듯한 착각에 빠졌다. 이곳이 내 학교였으면 하는 상상과 함께.이 책, <한국의 서원>은 서원 여행에 좋은 길잡이가 될만하다. 두껍지도 비싸지도 않은 책이다. 손에 넣고 다니며 필요한 곳에서 펴 읽음직하다.
독서의 계절이라는 의식적 자기 강요에 의해 집어든 책이다. 문학류에 끌리는 요즘 이번에 펼친 것은 독일 소설. 이것이 문제의 시작이다. 이렇게 재미없고 나와 맞지 않는 글이라니. 어쩌면 내가 독일 문학과 맞지 않는 것일지도. 펼친 책이니 그냥 덮을 수 없어 질질 끌다 1주일을 넘겼다. 그렇게 오늘 막 읽고 말도 안되는 흔적을 남긴다. 출판사를 저자를 비난하고 싶진 않다. 다 내 잘못일 뿐. ㅎㅎ1. 이 책에는 대화가 거의 없다. 대부분 주인공 ‘나‘의 독백이다.2. 주인공의 연인인 프란츠에 대한 사랑은 너무 일방적이다. 오히려 스토커에 가까워 보인다.3. 거의 백 살에 다다른 주인공의 과거 회상은 공감보다 일방적 자기 주장일 뿐이다.4. 책 표지의 추천사를 보면 이 책이 아름다운 사랑이야기이자 에로틱하다고 하지만 나는 이를 전혀 느끼지 못했다. 절절한 사랑이 아니라 고립된 사랑이다.5. 동독 출신의 작가로서 군데군데 ‘기이한 시대(동독 시절)‘에 대한 비판이 나온다. 나는 이 정도로밖에 이 책을 정리할 수 없다. 머리가 힘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