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내게는 아직 한쪽 다리가 있다
주대관 글 그림, 송방기 엮음, 김태연 시 옮김, 송현아 글 옮김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1년 5월
평점 :


자신이 읽은 책 꼭 읽으라는 딸아이의 강권에 의해 일주일 내내 어렵게 읽었다. 원하지 않는 일을 할 때 찾아오는 내 안의 거부감이 이렇게 표현되는 것이다. 아동문학으로 분류될 수 있을 이 가벼운 책을 왜 그리 힘겹게 읽었는지... 

책의 주인공은 대만의 만 9세 어린이 주대관이다. 이 아이는 ‘횡문근육종‘이란 병명조차 생소한 암으로 1년여 투병하다 1997년 5월에 하늘나라로 갔다. 이 책은 대관이의 약 10여년 생을 담고 있는 일종의 전기인 셈이다. 어린 아이 주제게 무슨 전기냐고 비웃을 수 있겠지만 대관이에게는 약간의 독특함? 혹은 남다름이 있다. 

다섯살 때 당시와 사서를 읽었다하니 그 천재성을 알만하다. 어렸음에도 종교, 음악, 문학 등을 이해했고, 가족애 또한 깊어 아빠인 내가 머리 숙여진다. 특히나 시를 잘 써 주위 사람들을 감동케 했으니 그의 죽음이 애통하다 아니할 수 없다. 이 책은 눈물 쥐어짜내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라 겨우 10년의 인생을 살다가지만 충분히 남겨진 이들에게 삶의 의미를 느끼게 해준다.

사랑이 가득했던 사람을 떠나보내는 것은 유독 힘들다. 그의 죽음은 그가 주던 사랑의 소멸이고 그가 만들었던 관계의 단절이기 때문이다. 대관이가 몸담았던 관현악단, 동생과의 협연, 가족 여행, 식사, 산책, 수업 등은 모두 이제 그가 없은 상태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투병 생활을 통해 자신만의 존재감을 남긴 어린이 대관. 존경의 마음이 절로 자라난다. 

암에 굴복하지 않고 그에 도전하는 정신이 고르란히 녹아 있는 시는 감동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내게는 아직 한쪽 다리가 있다‘는 시는 더욱 그렇다. 그래서일까 아빠의 마음으로 읽은 나는 책의 말미로 갈수록 내내 더운 눈물을 흘려야 했다. 대관이 이미지에 내 아이들의 겹쳐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결국 이 책을 통해 나는 다시금 반성해야 했다. 부모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 

반면 이 책에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다. 매끄럽지 못한 번역, 오타 등이 많지는 않지만 내 눈에 거슬렸다. 가방 끈 긴 분이 번역했지만 부족함이 있다. 이런 면에서 전문 번역가들의 힘이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