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단순한 독자로서 나는 이 책이 왜 그렇게까지 유명세를 타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나의 문학 이해력이 떨어지는 탓도 있겠으나 미디어의 영향력 아닐까 추측해 본다. 처음 들어보는 맨부커 상 수상 소식이 언론을 통해 전해지며 그 궁금증이 폭증했다. 나처럼 무관심한 이들도 있었겠으나 서구(영국)에서 주는 상에 목마른 우리네 정서를 고려한다면 일반 독자들의 눈에 단번에 들어온 것도 무리는 아니다. 사실 그만큼 나도 색안경을 끼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문학을 문학 그자체로 읽지 못한 나 자신도 탓해 본다.

이 책은 세 편의 중편 소설로 엮어져 있다. 각각 다른 문학잡지에 다른 날 게제되었지만 하나의 핵심 스토리를 중심으로 주변인들의 세 시각을 담고 있다. 아내의 행동을 이해 못하는 남편, 그런 처제를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는 형부, 그리고 이런 현실을 인내하며 살아가는 언니. 모두 갑자기 채식주의를 선언한 그녀(영혜)를 둘러싸고 있는 인물들이다. 나 역시도 이들의 시선을 따라가며 영혜를 바라보게 된다. 결국 영혜를 내부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시선은 없는 셈이다. 언니를 통해 그녀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힌트를 얻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것들이 결정적이지는 않다. 이런 점이 명확한 것을 원하는 나 같은 독자들에게는 불편하다. ㅎㅎ

어느날 꿈을 꾸고선 돌연 채식주의를 선언하는 영혜는 점점 일상에서 격리되어 간다. 급기야 자해도 하고 정신병원에 감금되기도 한다. 나아지기는 커녕 점점 더 심해지더니 급기야 자신은 나무가 될 것이라며 식사를 거부한다. 솔직히 나는 이런 상황을 이해할 능력이 없다. 그저 작가가 준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일 뿐이다. 다만 언니의 생각을 통해 몇 가지 짐작만 해본다. 어려서부터 아버지의 지속된 폭력에 시달려온 그들 자매, 결국 폭력에 억눌린 자아는 남을 먼저 의식하거나 자아를 거세해 버린다. 이렇게 살아온 자매를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언니는 주어진 상황을 인내하며 타인을 배려하는 삶만을 추구하다. 결과는 처참했다. 남편의 배신과 가족의 해체. 동생 영혜는 세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더니 급기야 채식주의를 선언하고 자신만의 세계로 숨어버린다. 영혜는 자신이 바라던 꿈을 이루었을지 모르나 그녀를 둘러싼 모든 관계들은 파괴된다. 그래서일까. 나는 이 책이 몹시 불편하다.

몰입될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가진 이 책. 그렇다고 명작 반열에 올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가끔 소설 읽는 독자가 이런 평을 내린다는 게 웃기긴 하지만.

사족 : 책 마지막에 실린 해설은 지웠으면 좋겠다. 이해하지 못할 몽상에 가득찬 글은 책을 위한 해설이 아니라 글쓴이의 자기과시에 다름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