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제국과 고려 - 쿠빌라이 정권의 탄생과 고려의 정치적 위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모노그래프 47
김호동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원후 12~13세기 전 세계를 호령하던 몽골제국. 그들은 항복하지 않고 끝까지 싸운 국가는 가차없이 처리해 버린 반면 항복하여 귀부해온 국가에 대해서는 국가의 존립은 물론 왕실 존재도 인정해 주었다. 그 당시 한반도에 있던 고려는 어땠을까?

잘 알고 있듯이 고려는 강화도 천도 이후 30년 넘게 몽골에 저항하였다. 무신정권이 무너진 후에야 왕(고종)은 태자를 쿠빌라이에게 보내 항복 의사를 피력하였다. 원칙적으로라면 고려는 국가와 왕실의 보존이 불가능했으리라. 하지만 의외로 쿠빌라이는 고려를 예외로 인정해 왕실의 보존은 물론 심지어 부마로 삼기도 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 책은 이 물음에 답을 준다. 역사 해석을 자신(자국)의 시야에만 한정한다면 매우 좁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몽골과 같은 대제국의 경우 역사적 상황은 복잡하고 다층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조건을 저자는 상당히 다양한 사료를 통해 확인한다. 한국, 중국, 일본, 터키, 독일 등의 사료를 통해 쿠빌라이의 집권 과정을 조사했다. 조금 큰 문고본 수준의 책을 저자가 얼마나 공들여 작업했는지 참고문헌과 각주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가 항복을 구하기 위해 태자를 중국에 보냈을 때 쿠빌라이는 다른 형제 아릭 부케와 대칸의 지위를 놓고 한판 대결을 펼치던 상황이었다. 결코 그에게 유리하지 못했던 위험한 상황이었다. 특히나 남송과 고려가 손잡았을 시 그에게는 더 힘든 국제 환경이 조성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쿠빌라이는 다른 점령국에 비해 고려에 유리한 항복 조건들을 수용해주었다. 게다가 자신의 딸까지 고려 태자와 결혼시키면서. 물론 쿠빌라이 사후 고려는 극심한 간섭을 받기는 하지만, 쿠빌라이의 예를 들며 외교적 노력을 통해 위기 상황을 극복해 나갔다.

그런데 이 책은 위의 설명같이 그리 만만한 책이 아니다. 일단 나(혹은 우리)는 몽골사에 무지하다. 칭기스칸과 쿠빌라이칸을 제외하는 아는 인물로 거의 없다. 이런 현실 위에 학술적 내용이 가득한 책을 차분히 읽어내기란 그리 녹록치 않았다. 게다가 도서명이 <몽골제국와 고려>지만 실제 내용은 부제인 ‘쿠빌라이 정권의 탄생과 고려의 정치적 위상‘이어서 어딘지 모르게 속고 산 느낌이 강했다. 전제 몽골시대가 아니라 쿠빌라이 시대에 한정되어 있기에 더욱 그랬다.

반면 고려사에 깊은 관심이 있는 이라면 이 책을 권한다. 몽골이 어떤 나라였는지 한국 사학자의 시각으로 바라본 점이 끌렸다. 과연 한국 전체에 몽골사를 전공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가야사 전공자가 20명 정도라고 했는데. 이제 역사 공부의 시야를 더 넓혀 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