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부여사 - 한국 고대국가의 원류 부여사 700년
송호정 지음 / 사계절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를 논할 때 한반도 최초의 국가이자 후대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나라로 고조선을 꼽는다. 틀린 주장은 아니다. 신화적으로나 역사적으로도 고조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민족 형성의 원류이기 때문이다.

반면 실제 역사 현장에서는 고조선보다 오히려 부여가 강한 파급력을 보였다. 고구려는 건국신화는 물론 정치의 많은 부분을 부여에서 배웠다. 고구려에서 파생된 백제 역시도 자신의 뿌리를 부여에 두고 있다. 오죽했으면 사비 천도 후 백제는 국명을 남부라고 했을까. 또한 신라와 가야 역시도 부여 주민과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러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부여사는 한국대사의 곁가지 정도로 취급되어 왔다. 700년이 넘는 역사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는 한 페이지도 취급되지 않는다. 그만큼 연구가 적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오죽하면 저자는 자신의 학위 논문 주제가 원래 부여사였지만 지도교수의 권유로 고조선사로 바꾸었다고 고백했을까. 예나 지금이나 부여사는 관심 밖에 있는 주제인 셈이다.

그런 부여가 조금이나마 관심을 받게 된 것은 중국 덕분 아닐까 싶다. 그들이 21세기 초반 동북공정을 진행하며 열심히 역사왜곡을 해준 결과 그에 대한 우리 정부의 역사 반격으로 부여사를 재탐색하게 된 것이다. 물론 고구려사나 고조선사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이 책은 대중서인 듯하지만 차라리 교과서적인 학술서에 가까워 보인다. 학술적인 요소, 즉 어려운 전문 용어나 딱딱한 논문적 요소를 가급적 배제하려 했지만 일반인들이 내용을 소화하기엔 어려워 보인다. 일단 저자의 글쓰기가 조금은 딱딱하다. 그것은 전작인 <단군, 만들어진 신화>와 비슷하다. 그래서 쉽게 풀어 쓰려고 노력한 학술서같다고 느껴진다. 재미적 측면에서는 좀 떨어진다는 얘기다. 아쉬운 대목이다.

다만 부여의 건국 신화가 고구려의 그것과 거의 흡사하다는 점에 놀랐다. 정확히 말해 고구려가 베꼈다해야 옳을 듯하다. 주인공의 이름과 내용까지. 그렇게 나는 부여를 몰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