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배반 - 선비의 그늘에 감춰진 조선 정치의 진실
박성순 지음 / 고즈윈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달 계승범의 <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에 이어 두번째로 읽는 조선시대 선비에 대한 비판 서적이다. 기존의 통설이나 교과서적 지식을 비판하고, 우리가 당연시 여기고 있던 역사의 사실들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 과연 우리가 알고 있던 선비들은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 그들은 진정 왕을 보좌하고 학문을 탐구하여 백성들을 보살핀 사람들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계속 든다. 물론 그리한 선비들도 많았음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그 개별적인 선비들이 아니라 전체의 선비들이 그런 의식을 가졌느냐 하는 것이다. 요즘 갈수록 회의적이다. 이런 연유에는 조선시대사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내 눈에 자리잡고 있다.

<선비의 배반>은 <心經>이란 책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의 선비, 특히 사람파들이 정권을 쟁취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심경>의 핵심 내용은 ‘경(敬)‘인데, 욕심을 없애고 잃어버린 본성을 되찾아 군자가 되어야 할 것이라는 경계의 문구들이 담겨져 있다. 남송대 주자학자인 진덕수에 의해 쓰여진 이 책은 조선 시대 들어와, 특히 사림파들에 의해 애독되었고 그들은 왕의 경연 때 강독할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다. 대체 왜 그랬을까?

사림파들은 <심경>을 경연 과목으로 지정함으로써 겉으로는 군주의 성학을 돕겠다고 표방하였다. 이를 통해서 인간의 심성을 최고 덕목으로 하는 도학적 이상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사림파들은 군주에게 <심경>을 권유하는 차원을 넘어 강요하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사림파들이 진정으로 <심경>을 통해 도덕적 이상사회의 건설을 꾀했는냐는 점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 문제는 없었을까? 저자가 제목을 ‘선비의 배반‘으로 지은 것도 바로 이 기대치에 못미치는, 그리하여 배반에까지 이르렀다고 강변하는 것 같다. 정확히 말해 선비의 배반이라기보다 사림파의 배반이라 해야 옳겠다.

책의 저자는 <심경>을 강조한 사림파를 강한 어조로 비판한다. 임진왜란의 실상, 광해군의 민생정치 실패, 정인홍과 소현세자의 죽음, 서인정권의 위선, 송시열의 활동 등에서는 매서운 어조로 사림파들을 비난한다. 현실을 도외시한 공리공담으로 문약해 빠진 나라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대체 <심경>의 강요를 통해 사람파들이 얻고자 한 것을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정권의 쟁취라고 저자는 말한다. 민생이 어찌 되던 외적의 침입 앞에서도 단합하지 못하고, 아니 그 외적이 물러간 이후에도 세상의 변화에 둔감하고 자신의 목소리만 높인 저들을 어찌 시대의 지도자라 할 수 있단 말인가.

사실 저자는 후기에서 이 책을 쓴 속내를 밝히고 있다. 사림파의 집권의 시대는 개발독재 시대와 많은 면에서 겹치고 있다. (책이 출간될 당시) 새로 집권하게 될 노무현 정권의 사람들이 다시 역사의 오류를 범하지 않게 이 책을 참고해달라는 것이다. 그는 이를 충정이라 했다. 믿어야지......^^

나는 조금 다르게 읽었다. 성리학 이외의 것을 사문난적이라 배척하던 그때를 읽으며 왜 서양의 중세가 떠올랐을까? 그리고 문약했던 중국의 송나라가 연상되었을까? 송은 몽골족에서 넘어갔고 조선은 일본에게 넘어간 사실이 묘하게 연결되었다. 다행히 서양 중세는 새로운 세상을 꽃피웠지만 송과 조선은 나라를 통째로 잃지 않았던가. 역사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하게 된다.

물론 이 책에도 한계는 있다. 인용이 많아 보이는 데 출처를 달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을 붙이긴 했으나 그래도 부족해 보인다. 또한 수 백년간 명맥을 이어간 조선을 <심경>으로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끊이지 않는다. 사림파의 복잡한 관계와 활동도 <심경>으로 간단히 설명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이 책은 내게 역사를 보는 눈을 하나 제공했다. 작은 주제 하나로 보는 시대사가 그렇다. 배움과 지식이 부족한 내가, 나의 눈으로 역사를 보는 방법을 조금은 이해하게 된 것이다.

아무튼 다 읽고나니 조선사와 사림파에 대한 시각이 풍부해졌다. 아니 솔직히 말해 너무 복잡해서 갈피를 잡기 힘들다해야겠다. 나름의 주관을 가져야 할 때인데 저자들의 사관에 내 역사관이 덩달아 흔들리는 우를 범하고 있다. 어떤게 진실인지 모르겠다. 결국 공부를 더해야겠다는 생각뿐. 그래서 재밌나보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3-04 07: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knulp 2017-03-04 08:23   좋아요 1 | URL
그렇게 생각하셨군요. 아무튼 선비들의 당당치 못함에 화가 좀 낳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