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불복종
헨리 데이빗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이레 / 1999년 8월
평점 :
절판


공감을 넘어 실천해야 할 덕목이라 생각된다. 소로우! 그의 삶에 존경을 넘어 경외심마저 느껴진다. 개인 소로우는 매우 조용하며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지만, 시민 소로우는 인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강조했다. 그래서 그는 늘 당당했었다. 하지만 그가 살던 100년 전의 미국와 지금의 한국에는 그다지 차이가 없어 보인다. 특히 정부의 말도 안되는 압력은. 경찰과 검찰은 대체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인지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한 인간의 지성이나 양심을 상대하려는 의도는 결코 보이지 않고 오직 그의 육체, 그의 감각만을 상대하려고 한다. 정부는 뛰어난 지성이나 정직성으로 무장하지 않고 강력한 물리적 힘으로 무장하고 있다. 나는 누군가에게 강요받기 위하여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아니다. 나는 내 방식대로 숨을 쉬고 내 방식대로 살아갈 것이다. 누가 더 강한지는 두고보도록 하자.
헨리 데이빗 소로우, <시민불복종>, 이레, 1999에서 인용.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2-01 0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knulp 2017-02-01 09:52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권력을 꿈꾸는 것 같습니다. 매번 권력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현상이잖아요. 안타까운 우리네 현실입니다. 불현듯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떠오르는 아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