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비평 117호 - 2016.겨울
역사문제연구소 엮음 / 역사비평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에게 단군은 무엇일까? 유대인들에게 여호와의 위치쯤 될까? 하지만 종교적인 면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유대인들은 수 천년 전부터 자신들의 신앙을 만들어 왔지만 단군이 신격화된 것은 1909년 나철이 대종교를 만들면서부터이다.

하지만 종교적 색깔을 빼고 역사적으로만 본다면 단군과 여호와의 기능은 비슷한 면이 있다. 즉 해당 민족의 수난 시기에 극복의 수단이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여호와의 종교적 기능이 좀 더 부각될 수밖에 없지만, 단군 역시도 수 천년의 세월을 뚫고 지금까지 국난 극복의 상징으로 역할해 왔다. 고려 시대에도 일제 강점기에도. 그리하여 단군은 20세기 들어 ‘상상의 공동체‘인 민족을 구성하는 게 크게 이바지 하였다. 여기에 단군의 역할이 있지 않을까 한다.

사이비 역사학자들이 고조선의 영역을 넓히고 우리 민족의 위대성을 강조하고 싶어하지만, 그것은 바람일 뿐 현실이 되기 어려워 보인다. 북한이 1990년대 단군릉을 내세워 ‘대동강 문화론‘을 강조한 것과 무엇이 다를까. 더 강력한 사료와 물증이 발견되지 않는 한 단군신화와 고조선은 여전히 다루기 힘든 분야다. 그것은 중앙박물관 전시실에 가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결국 고조선 건국 B.C2333년도 허구일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단군 자손 의식이 등장하는 시기는 일제가 국권침탈에 박차를 가하던 20세기 초였다고 한다. ‘한민족은 단군의 자손‘이라는 인식이 처음 등장한 것도 1908년 1월 1일자 <<대한매일신보>> 논설 <신년송축>이다.(242쪽)

즉 한국 역사에서 사회적으로 그 필요성이 요구될 때마다 단군은 마스터키처럼 다양한 형태로 소환되었고, 그 나름의 역사적 기능을 수행해왔다.(246쪽)

단군의 역사는 한반도에 처음 출현한 국가 고조선의 건국신화로 시작되었다. 그렇다. 단군은 단일민족의 유일 시조도 아니었으며, 그로 인해 우리의 역사가 5000년 전에 시작된 것도 아니었다.(2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