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좋은 방 열린책들 세계문학 28
E. M. 포스터 지음, 고정아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하여 읽은 모든 책이 독자와 궁합이 잘 맞는다면 환상이겠으나 사실은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기대했던 내용과 달리 수준이 낮거나 엉뚱한 경우도 있고 저자의 글쓰기에 심히 낙망할 때도 있다. 나의 경우에는 고전문학이 특히 그랬다. 오늘 독후감을 쓸 전망 좋은 방이 내게 특히 그랬다. 장편소설이라고는 하나 읽기 버거울 만큼의 두께도 아니고 내용도 아닌 것을 나는 왜 그리도 힘들게 읽었단 말인가!

 

주인공인 루시와 조지의 사랑에는 강렬함이 없다. 그들이 어떻게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이 부족하다. 급작스런 첫키스와 영국에서의 재회는 너무나 어색하다. 루시와 결혼할 뻔했던 이탈리아 신사 세실은 너무 외떨어진 존재다. 남들은 테니스 치는 데 혼자 소설을 읽어주고 있다. 대체 왜? 물론 이것들이 20세기 초반의 영국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이해한다. 그래서인지 책표지에 이런 소개가 있다. ‘영국 사회의 계층 갈등과 가치관의 충돌을 날카롭게 지적해 낸책이라고. 세실이 그 대표 인물이기는 하지만 나는 답답함만 느꼈지 작가의 그런 의도를 눈치 채지 못했다. 내가 너무 무딘 걸까?

한편 이 책에 대한 역자의 평에는 아이러니가 넘치풍부한 유머를 담고 있다고 하지만 아둔한 나는 전혀 그런 점을 느끼지 못했다. 대체 나는 무엇을 읽었을까? 고전을 제대로 읽으려면 당시 사회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텐데 내가 그런 점에서 무지했던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본다. 20세기의 영국 사회를 너무 몰랐기에 소설의 맥락을 제대로 잡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루시의 자유의지도, 청춘의 사랑 이야기도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바쁜 일상에서도 짬짬이 읽은 소설의 뒤끝이 너무도 허무하다. 사두고 한참을 묵힌 뒤 읽은 책이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