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의 집 청소
김완 지음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주는 묵직함과 두려움이 있는 책이다. 그렇게 망설이다 읽어야 할 상황에 처해서야 주저하며 책장을 넘겼다. 왜 죽은 자의 집을 청소해야 할까? 그런 직업이 따로 있단 말인가? 그런 직업을 가진 사람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일을 할까? 하는 단순하기 짝이 없는 의문 속에 책읽기는 그렇게 속도를 내지 못했다. 더군다나 문학을 전공한 저자답게 글이 예리하고 느린 듯하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잘 풀어내고 있다. 그중에서도 문학적 통찰력은 눈에 확 들어온다.

집을 치우며 지독한 고독을 보았다면 그것은 결국, 내 관념 속의 해묵은 고독을 다시금 바라본 것이다. 이 죽음에서 고통과 절망을 보았다면, 여태껏 손 놓지 못하고 품어온 내 인생의 고통과 절망을 꺼내 이 지하의 끔찍한 상황에 투사한 것일 뿐이다. 젊은 나이에 미쳐서 스스로 돌보지도 못하고 죽어버린 한 불행한 남자를 보았다면, 마치 인생의 보물인 양 부질없이 간직해온 내 과거의 불행함을 그 남자에게 그대로 전가하고는, 나는 결백하답시고 시치미 떼고 있을 뿐이다. 나는 언제나 나 자신을 바라보듯 타인과 세상을 바라보는 것 같다. 그것이 내가 이 지하 방에 관해 알게 된 유일한 진실이다.(101쪽)

이 일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간단했다. 쉽게 말해 자신의 직업으로 다가가는 것이지 무슨 엄청난 사명감이나 죽음에 대한 고귀한 생각을 갖고 있지는 않았다. 그런 추측한 것은 독자의 착각이거나 섣부른 예상에 불과했다. 이것은 어쩌면 남다른 직업을 가진 이들에게 보이지 않는 부담을 지워주는 행위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런 질문들을 많이 받는다고 했다. 어쩌면 유치하기 짝이 없는 그런 질문들도. ˝귀신 본 적 있으세요?˝

책에는 왜 이 직업을 가지게 되었는지 구체적인 설명은 없다. 저자는 자신의 눈앞에 펼쳐진 광경을 목도하며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사건 사고의 현장을 분석하고 파헤치는 것은 자신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의 일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해는 것이 아니라 죽음 이후의 상황들을 받아들이고 정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그의 눈에 들어오는 현실은 아픈 것이었다. 그가 맡아 일하는 죽음의 현장은 대체로 가난한 자들, 고독한 자들, 고립된 자들이 주인공이었다. 가족과 사회로부터 소외된 이들. 죽음의 현장에서 그는 뒷그늘에 가려진 사회의 단면을 본 것이다.

혼자 죽은 채 방치되는 사건이 늘어나 일찍이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던 고독사 선진국 일본. 그 나라의 행정가들은 ‘고독’이라는 감정 판단이 들어간 어휘인 ‘고독사孤獨死’ 대신 ‘고립사孤立死’라는 표현을 공식 용어로 쓴다. 죽은 이가 처한 ‘고립’이라는 사회적 상황에 더 주목한 것이다. 고독사를 고립사로 바꿔 부른다고 해서 죽은 이의 고독이 솜털만큼이라도 덜해지진 않는다. 냉정히 말해서, 죽은 이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자 편에서 마음의 무게와 부담감을 덜어보자는 시도이다.(190쪽)

무겁게 시작한 책읽기는 중반을 지나면 어느새 저자의 따뜻한 마음에 동화된다. 그는 죽음 이후를 다루는 직업을 가졌지만 결코 죽음에 동화되거나 그 속에 매몰된 사람이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글과 청소를 통해 죽은 자의 마음을 다독이며 그를 위로한다. 한걸음 나아가 이웃을 염려하고 자살하려는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힘쓴다.

이곳을 치우며 우연히 알게 된 당신의 이름과 출신 학교, 직장, 생년월일이 다 무슨 의미가 있는지요? 그것은 당신에 대한 어떤 진실도 말해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집을 치우면서 한 가지 뚜렷하게 알게 된 것이 있다면 당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당신을 향한, 이곳에 남은 자들의 마음입니다(128쪽)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지인은 결국 이 책을 포기했다. 죽음이라는 단어에 경도되어 저자가 이야기하려는 것을 듣지 못하게 되었다. 나 역시도 그런 제목만 눈에 들어와 책에 대한 거부감이 강했었다. 하지만 마지막 장을 넘기며 오히려 저자와 같은 마음가짐을 가지길 원했다. 직업관도 사회에 대한 혜안도. 함께 읽고 마음을 나누기에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