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가운 여름 나기 - <바깥은 여름>을 읽고

사람살이는 예상 밖의 변수로 인해 어느 방향으로 진행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온전한 개인의 삶도 그렇거니와 그를 둘어싼 환경은 그 복잡성을 더한다. 그래서 어떤이는 청년의 미래를 함으로 예단하지 말라고 말하기도 했다. 청년의 미래는 어떻게 변할지 우리는 전혀 알 수 없다. 그래서 인생은 살만하다고 말할 수도 있겠으나 한편으로는 그런 불안정성 때문에 두려움에 사로잡히는 게 우리네 인생이다.

여기 단편 모음집인 김애란의 <바깥은 여름>을 보라. 누구나 행복을 꿈꿨겠지만 극단적 상황에 내몰린 이들의 안타까움이 잔뜩 묻어나는 이 책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들을 잃은 부모, 자신의 분신인 애완견을 하늘로 보내는 아이, 이별을 통보해야 하는 연인, 사고로 남편을 잃은 어느 여인까지. 소설은 평범한 우리 이웃을 소개하는 듯하면서도 그들의 쓰린 내면을 극명히 드러낸다. 차마 이웃들은 알기 어려운, 아니 알아도 어찌할 수 없는 아픔을 지닌 그들을 소개하며 읽는 이들의 가슴을 아리게 한다.

그래서일까? 제목이 ‘바깥은 여름‘이다. 지금 주인공들의 삶은 피폐하고 무너진 차가운 계절의 한가운데 있다. 하지만 바깥은 뜨거운 여름이다. 작가의 의도가 읽히는 대목이다. 불편한 마음 한가득 안아야만 책을 덮을 수 있다. 아니 우울감이 내면에 자리잡아야 책을 읽었다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김애란의 글은 그랬다.

<바깥은 여름>을 읽자니 정리되진 않지만 내안에 독서의 편린들을 남겼다. 첫째는 이 책이 죽음과 이별이라는 헤어짐을 다룬다는 점이다. 책 전체에 어떻게든 이별의 조각들이 들어있다. 특히 가족의. 남은자들에게는 혹독한 형벌을 안기는 그런 류의 이별들이다. 둘째, 김애란의 글에는 어린이들이 중심으로 등장할 때가 많다. 아이의 죽음이든 어떤 행위든. 어린 아들 잃은 엄마가 우연히 찾은 아이의 마지막 글씨(실은 ‘엄마아빠‘를 쓴 낙서다)는 어떤 의미를 던질까? 셋째, 이 소설 속 인물들은 무언가 결핍을 안고 있는 듯하다. 물론 극적 상황에 내몰린 이들의 반응이기도 하겠으나 그 인물들 자체가 가진 결핍도 무시 못한다. 조손가정의 노찬성도 그랬고 다문화가정의 재이도 그랬다. 불안함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넷째, 김애란의 문체다. 이것은 많은 이들이 인정하는 대목이지 않을까 싶다. 감정의 묘사와 비유적 표현들은 이야!하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게 만들었다. 남자 작가들에게서는 느끼기 어려운 예리하고 섬세한 표현은 그녀의 격을 한단계 높여준다.

<바깥은 여름>은 분명 좋은 글이다. 인간의 아픔과 고뇌를 잘 드러낸다. 가령 김훈이 거대한 담론을 지닌 글을 쓴다면 김애란은 한 개인의 내밀함을 잘 묘사한다. 그들은 대척점에 있는 듯하면서도 서로를 바라보게 한다. 좋은 글이 가진 힘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