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태어나 자신이 원하는 일을 찾고 그 길을 간다는 것은 여간 큰 행운이 아니다. 실제 주변에서 ‘하다 보니’ 여기까지 왔다는 이야기들을 자주 듣는다. 그것은 자신의 성향이나 관심사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고 또한 외부에서 강요된 길을 가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다는 반증이도 하다. 전통사회처럼 신분에 의해, 남녀의 구분에 의해 정해진 길만 가야하는 시대가 저물고 있음에도 우리는 여전히 미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달과 6펜스》는 내게 의미 있게 다가왔다. 우리는 미래를 위해 쉽게 자신의 기반이 되고 있는 과거와 현실을 끊어내지 못한다. 다가오지 않은 미래는 불안하고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 마흔을 넘어 자기 꿈을 개척하는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자신의 현재와 결연히 단절하고 자신의 길을 찾아 나선다. 심지어 가족과 자신의 나라마저 등지고. 이런 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나는 그림을 그려야 한다지 않소. 그리지 않고서는 못 배기겠단 말이요. 물에 빠진 사람에게 헤엄을 잘 치고 못 치고가 문제겠소? 우선 헤어 나오는 게 중요하지 않소. 그렇지 않으면 빠져 죽어요.」(69쪽)

런던의 증권 중개인이자 한 가정의 가장이었던 스트릭랜드는 어느 날 갑자기 편지 한 장으로 아내에게 이별을 통보하고 가정을 버린 채 파리로 떠나 버린다. 파리에서 그는 그림에는 전념하지만 가난한 생활로 인해 쓰러진다. 이때 그의 천재성을 알아 본 스트로브 부부의 헌신적 보살핌으로 되살아난다. 하지만 그는 스트로브 부인과 사랑에 빠지게 되면서 스트로브 가정을 풍비박살 낸다. 이후 스트릭랜드는 우연한 기회로 배를 얻어 타고 타히티로 가게 된다. 이곳에서의 3년은 그의 일생 중에 가장 왕성히 작품 활동을 하던 행복한 때였다. 그래서일까? 그는 문둥병에 걸려 고통 받으면서도 그는 필생의 대작을 자신이 살던 오두막의 벽에 남긴다. 비록 그의 유언으로 오두막과 함께 불태워지지만.

이런 스트릭랜드의 행동에는 공감을 얻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가족을 버렸다는 점과 자신을 헌신적으로 보호해준 친구의 가정을 파괴했다는 점은 그의 예술적 재능을 넘어 큰 인간적 흠결로 지적될 수 있겠다. 예술이 인간의 존엄을 넘어설 수는 없지 않은가! 반면 저자 서머싯 몸은 이 책에서 인간성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화자를 통해 그 점을 언급하지만 결론부로 가면 스트릭랜드의 예술성에 감화되는 것으로 끝맺는다. 타이티에서의 성취는 역사적 예술품으로 인정받지만 그의 인간적 이력은 거기에 묻히고 만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예술지상주의를 표방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책을 읽으며 이 지점에서 독자로서의 내적 갈등에 시달렸다. 나 역시도 책의 말미에 스트릭랜드의 엄청난 예술홈에 감화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땅의 근대소설가 김동인은 《광화사》, 《광염소나타》를 통해 극단적 예술지상주의를 드러냈다. 주인공 솔거와 백성수는 자신들의 예술 세계를 위해 폭력과 살인 같은 행위를 마다하지 않는다. 예술을 위한 이런 광기를 우리는 수용할 수 있을까? 개인의 의지와 도덕성이 대결하고 현실과 예술성이 마주치는 《달과 6펜스》를 읽자니 내내 김동인이 머리를 맴돌았다. 지역은 다르지만 동시대를 살았던 작가들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