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주의 사고의 프런티어 2
고모리 요이치 지음, 배영미 옮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기획 / 푸른역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현실 혹은 가공의 차이에 일반적.결정적인 가치를 매기는 것으로 이 가치 매김은 고발자가 자신의 공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피해자를 희생시키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하는 것이다.‘

과연 누가 윗글을 읽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바로 찾아낼 수 있을까? 나의 짧은 지식으로는 이 한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 읽고 또 읽어야만 했다. 그런데 한국의 사전에서는 좀 더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 용어에 대해 다음 백과사전에서는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개개 인종의 생물학적, 생리학적 특징에 따라 계급이나 민족 사이의 불평등한 억압을 합리화하는 비과학적인 사고방식‘. 이렇게 읽으니 의미가 좀 더 명확해졌다. 이 용어는 책의 제목과 같은 ‘인종차별주의‘를 말한다.

다윈의 진화론부터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을 거쳐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이 문명과 야만이라는 흑백논리로 제국주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데 일조한 것이 생물학적 인종차별주의였다. 이 인종차별주의는 20세기 중반까지 맹위를 떨치며 단순한 ‘차이‘를 마치 절대적인 차이인 양 혈통과 유전이라는 숙명적 요인으로 규정해 나갔다. 또한 그 ‘차이‘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을 긍정하고 타자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인종차별주의는 나아가 차이를 통해 피차별자를 비인간화시키는 역할에까지 했다.

인종차별주의는 특권이나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을 옹호할 때 주로 나오는 편이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힘을 가진 국가 권력이 약소 민족이나 국가의 식민지화에 대해 이는 어떻게든 역사적 필연일 수밖에 없다는 식의 책임회피 논리로 이어졌다. 따라서 그들에 의한 역사수정주의를 비롯한 역사 부정은 반드시 인종차별주의 맞닿아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배자와 제국은 자신의 양심과 이성의 회로가 정상궤도를 벗어나게 되고 자신의 죄를 잊어버린 채 편안함마저 느끼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인종차별주의를 프로이트의 심리학,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그리고 일본 근대 문학 분석을 통해 심화 설명해준다. 오리엔탈리즘 분석을 통한 인종차별주의 이해는 일반적 연구 경향에 속한다 할 수 있지만, 유아기의 언어 습득을 통해 내면화하게 되는 차별 의식 분석은 조금 특별한 시도로 보였다. 특히 일본근대문학 전문가인 저자의 이력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랬다. 마지막으로 <<악감>>이라는 일본 근대 소설을 통해서 보는 일본식 인종차별주의는 늘 그들 모두를 같은 인종차별주의자라고만 평가해오던 데서 한 걸음 뒤로 물러서게 한다. 프랑스에서 공부한 한 일본인이 같은 일본인을 폄하하고 부끄러워 하는 장면에서 그들의 뒤틀린 심리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본인들 안에서도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끝난다. ‘인종차별주의가 언어를 구사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뇌의 사고를 정지시키고 동물의 뇌가 선택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며 항상 인간의 폭력성을 선동하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깊은 울림을 주는 문장이다. 단순히 피부색으로 차별하는 인종주의만을 떠올려서는 안된다. 그 안에 내재된 폭력성과 차별 역시 감지하고 구분해야 한다. 우리 뇌가 그것들에 의해 압도되지 않도록!

제법 어려운 책이다. 이론서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두 번 읽었다. 그래야만 머리에 녹아 들었다. 물론 이는 분명 내 좋지 못한 머리 탓이다. 다만 읽고 싶은 분야를 확장해주어 의미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