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그러진 근대 - 100년 전 영국이 평가한 한국과 일본의 근대성
박지향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제목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저자의 의도가 너무 강하게 드러나 독자의 독서방향을 침해하지 않을까 지레 걱정되었다. 내용은 그정도까지는 아니었으나 저자의 강한 성향? 자기 확신이 많이 드러나는 책임은 느낄 수 있었다. 그만큼 저자가 열심히 연구하고 확인한 결과인만큼 배울 게 많은 책인 것도 인정할 수밖에 없겠다.

<일그러진 근대>는 비교사의 측면에서 100년 전의 한일관계를 다루고 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해 제국 영국의 눈으로 본 준제국 일본과 준식민지 조선을 설명한다. 오리엔탈리즘으로 삐뚤어진 제국의식은 그들을 동경하며 따르려는 일본을 비하하거나 경계한다. 영국은 근대화(혹은 서양화)에 어느정도 성공한 일본을 인정하며 제국의 반열에 끼워주려 하지만, 러일전쟁을 거치며 동아시아에서 자국의 이익을 침해받자 바로 본성을 드러낸다. 이런 점을 간파한 일본은 20세기 초반이 되면 반대로 영국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낸다.

이에 비해 영국은 조선에 대해 시종일관 폄하하는 자세를 보인다. 부패하고 뒤쳐진 이 국가는 스스로의 힘으로 독립을 할 자격이 없기에 일본같은 문명국에서 지배받는게 낫다는 의견을 공공연히 드러낸다. 문명화의 최일선에 서 있는 영국인이지만 조선을 바꾸려는 의지는 없어 보였다. 그보다 자신들을 대신해 조선에 지극히 관심을 보이던 일본이 눈에 들어왔다. 일본인에 대해 가졌던 긍정적인 생각이 점차 바뀌어도 영국인은 조선 문제를 일본이 처리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다. 그만큼 조선은 영국인들의 눈에는 어찌할 수 없는 나라였다.

위와 같은 점들을 염두에 두고 느낀 점을 정리해 본다. 우선 이 책에서는 100년 전 스스로 1등 인종이라 생각하는 영국인들의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은 문명화의 앞장선 우수 국민으로 자기의 역할을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다고 착각한다. 당연히 그들이 남긴 기록은 거만하고 왜곡될 수밖에 없었다. 짐작 가능한 내용이지만 영국인 스스로 남긴 기록을 확인하니 화나면서도 눈길이 간다.

둘째, 일본을 이해하는 영국의 시선이 정부와 민간인 사이에 간격이 크다는 점이다. 즉 영국 정부는 내내 일본의 한국 정책에 대해 우호적이었다. 위에서 밝힌 바처럼 문명의 입장에서 일본의 한국 지배는 당연한 것처럼 보였다. 게다가 외교적으로도 일본을 이해하련는 자세를 강하게 드러냈다. 반면 영국의 민간인들은 처음에는 정부와 비슷한 주장을 펼치다 제국 일본의 진면목을 확인한 뒤에는 일본은 비판하는 자세를 취한다. 오히려 한국에 호의적인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셋째, 제국주의 국가들의 이기심은 예나 지금이나 믿을 수 없다. 자국의 이익 앞에서 어떠한 거짓과 가식도 서슴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영국도 일본도 마찬가지다. 약소국의 입장이나 그 나라 국민들에 대한 이해는 없다. 이용할 대상으로만 판단하고 자신들이 무엇을 해주었나만 강조한다. 시간 관념, 교통 시설, 건축물 등 드러내보일 수 있는 변화들을 통해 문명화의 역할을 다했다고 주장한다. 지금의 일본 우익 정치인들이 자주하는 망언들을 보면 여전히 이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ㅆ다.

넷째, 저자 박지향은 100년 전의 조선에 대해 ‘조선‘이라 부르지 않는다. 대신 책 전체에서 한국이라고 썼다.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분명 지금의 한국과 과거의 조선은 다른 나라인데 왜 저자는 한국이라고만 썼는지. 연속성을 중요시했기 때문일까 궁금해진다.

아쉬운(?) 것은 저자가 뉴라이트 계열로 들어갔다는 점이다. 이 책은 역사전문 출판사인 푸른역사에서 출간되었지만 최근의 책들을 보면 우익 관련 책들을 전문으로 하는 기파랑에서 나오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색채가 강하고 박정희 시절을 옹호하며 MB 정부에 아부하던 그들과 손잡은 저자를 고운 눈으로 보기 힘들다. 그렇다고 이 책까지 엮어서 비판하고 싶지는 않다. 저자가 영국사 전문가임에는 틀림없으니까.

아무튼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의 독서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