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화의 진실 - 조선 경제를 뒤흔든 화폐의 타락사
박준수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악화의 진실은 근래 읽었던 책 중에서 어렵게 느껴졌던 책이었다.
이 책에 쓰인 말들이 다소 낯선 느낌 때문이기도 하였지만, 경제를 바탕으로 쓰였다는 압박감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담감을 덜어내기라도 하듯 적절한 사실과 픽션의 버무림은 책을 재미있게 하였고,
그 결과 <악화의 진실>을 다 읽고 나서는 역사적인 지식과 교훈을 얻었다는 뿌듯함과 더불어 경제구조에 대한 무지를
벗어날 수 있었다는 만족감을 느꼈다.
당백전을 처음 알게 된 것이 언제인지는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조선의 화폐라고 소개되었던 조선통보, 상평통보와 함께 당백전이 짧게 소개되었던 기억이 난다.
당백전에 대하여 몇 아는 것 없이 책을 읽기 시작하였지만, 그 어느 시간보다 작디작은 화폐 당백전을 통하여 바라본 사회는 놀랍기만 하였다.
당시 상인들의 욕심을 통한 몰락과 새로운 세력의 부상, 화폐제조에 대한 각종불법적인 문제들, 권력, 고리대금, 약탈이 고스란히
묻어있는 이 화폐는 진실로 '약화' 라고 불리 울만 하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비단 과거의 일로만 그치는 점이 아니라는 점에서 현 경제문제점도 바라보게 되었다.
아직도 사회에서는 불법위조를 하고 있고 고리대금 업체는 과거와 달리 비밀스럽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TV광고까지 내걸 만큼
많은 회사들이 성장해있다.
돈을 통한 권력싸움은 두말할 것도 없다.
이 책은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를 바라보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듯싶다.
좌의정 김병학이 대원군에게 당백전을 건의하면서 '부득이한 일시적 조치' 로 한때 한시적으로 발행되면 문제될 것 없다는 것으로 당백전이 탄생하였다.
그 뒤로 이 당백전이 대부분의 백성들이 피땀 흘려 가꾸던 것을 하루아침에 물거품으로 만들게 되면서 악화라고 불리게 되었다.
(화폐는 악화와 양화로 나누어지는데, 백성들에게 도움이 되는 화폐라면 양화라고 불리고 백성들에게 도움 되지 않는 화폐라면
악화라고 불린다.)
동전의 액면가격은 그대로이나 동전의 실제 가치를 나타내는 금속이 줄어드는 것을 화폐타락의 가장 기본이자 전통적인 방법이다.
이를 바탕으로 당백전은 발명의 수익을 극대화하기위해 액면가격을 늘리고 동전에 들어가는 금속의 양을 크게 줄임으로써 주전이익을 극대화하였다.
책을 읽기 전에는 화폐의 타락에 대하여 생각해 보지도 않았을 뿐더러 심각한 문제로 바라보지도 않았다.
무지몽매한 어린아이가 생각하듯이 새로운 화폐를 탄생시키고 새로운 직업을 늘려 새 화폐를 유통시키면서 시간이 흘러가면
절로 경제는 다시 회복될 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내가 생각한 간단한 상황과는 다르게 물가의 폭등으로 시장질서가 무너지게 되고 거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화폐의 가치는 덜어지고 물건을 가진 사람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경제 시스템이 무너진 사회를 다시 일으키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도 경제가 늘 비슷한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이익을 위하여 신분에 관계없이 욕심을 내는 인간의 모습은 비단 과거의 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예나 지금이나 '이익' 이라는 것은 재산을 불리고 부유하게 살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기 때문일 것 이다.
또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에 일어나지 말아라는 법도 없다.
화폐를 타락시키지 않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은 이 책에서 거듭 강조하고 있다.
하루에도 몇 번이나 경제금융의 위기가 닥쳐온다.
이러한 경제현상에 대하여 잘 알고 싶고 제대로 된 파악을 하고 싶지만 대부분의 글들은 너무 어렵게 느껴진다.
뿐만 아니라 현재 경제의 문제점을 고발하는 책은 너무 전문성을 띄어서 읽어 내려가기 힘들다.
<악화의 진실>은 당백전을 통하여 화폐의 타락을 보고 시장계제가 무너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한다.
시장경제가 무너지는데 원인이 다름 아닌 인간에게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면 더 이상 과거의 일이 아니라는 것까지 알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역사와 픽션이 더불어진 재미있는 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장경제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지침서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