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홍
노자와 히사시 지음, 신유희 옮김 / 예담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가족을 죽인 살인자의 딸과 가족의 죽임을 알게 된 피해자인 나 (아키바 가나코) 의 삶이 비슷하다는 책 표지의 글을 읽고 어쩐지 조금 섬뜩해져버렸다.
지구에 셀 수 없이 많은 인구가 살고 있고 그 수는 내가 감히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많은 숫자인데,
그 사람들 속에서 거울을 마주한 것처럼 닮은 사람이 하필이면 피해자의 딸과 가해자의 딸이라는 운명의 장난이라니.
처음에는 둘의 관계를 보고 '하필이면…….' 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가해자의 삶과 피해자의 삶이 닮은 것은 어느 누구가리지 않고 똑같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라고,
아키바가족은 아빠와 엄마 그리고 가나코, 도모키. 나모키로 이루어진 다섯 가족이다.
가나코가 6학년 수학여행을 가게된 날 가나코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의 일가족들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날부터 가나코는 웃는 것도 죽은 가족들에게 미안하게 생각하고 혼자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시달리며 살아갔다.
총 5장으로 이루어진 심홍에서 1장과 2장에서는 사건의 긴박함이 가득하여 읽으면서도 몸이 움츠러드는 것만 같았다.
1장에서는 수학여행을 갔던 가나코가 가족의 소식을 접하며 돌아오는 길과 심경을 묘사한 글을 다루고 있었다.
어린 가나코가 마주하기에는 감당되지 않는 충격이었을 텐데도 가나코의 울지 않는 차분한 모습은 앞으로의 가나코 인생에 많은 변화가 기다리고 잇다는 것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었다.
1장에서 한껏 가나코와 아키바가족의 무너진 인생에 슬퍼하다가 2장을 읽으면서 심경의 변화가 생겼다.
가해자든 피해자든 둘 다의 이야기를 접해보면 한쪽의 시시비비를 가리기 어렵지만, 이 책은 더 그렇게 다가왔다.
2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아키바 가족을 살해한 쓰즈키 노리오의 상신서와 재판결과를 담은 글인데 상신서를 읽다보니 쓰즈키 노리오가 아비카가족을 살해했던 것은
'아키바씨가 그럴만한 행동을 했다' 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살인은 잘못되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쓰즈키씨를 그렇게 까지 몰고 간 것은 다름 아닌 아키바씨였다는 점에서 쓰즈키씨의 상황이 안타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3장부터는 사건보다는 피해자의 딸인 가나코와 가해자의 딸 미호가 만나게 되는 발돋움으로 이야기는 시작한다.
책의 전반부보다는 긴장감도 떨어지고 큰 사건도 없어 잔잔하기만 하지만 <심홍>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가나코가 우연히 미호의 심경을 다룬 기사를 접하게 되면서 미호와 접근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하는 3부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심리묘사가
이렇게 진지하면서도 담담하게 표현된 것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이 책이 가진 힘은 이곳에서 드러나는 것이 아닐까라고 할 만큼 대단한 표현력이라고 생각된다.
사건보다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의 심리를 놓치지 않는 것은 <심홍>이 다른 책과 어떤 다른 점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결국 두 사람 다 앞으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마지막까지 거울처럼 닮은 삶 두개로 끝까지 설정해두는 것은
각자의 상처는 결국 내가 안고 극복해야하는 삶 중에 하나라고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P302: 가나코는 네 사람이 겪은 아픔을 상상할 수가 없었다. 한편 사랑하는 이에게 얻어맞음으로써 그 아픔을 억지로 상상하려드는 인간이 여기에 있다.
미호는 '네 시간' 이라는 트라우마 속에 자신을 가두고 자신을 제어한다.
이 제어는 결국 오랫동안 은신처에 쌓아둔 분노로 변하게 된다.
이 분노의 화살은 결국 미호에게 쏘아지지만, 또 다르게 표현하자면 가나코에게도 동시에 쏘아지는 것이다.
미호의 아버지가 살인자 이었듯 그 피가 너에게 흐른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남편이 미호의 아이를 유산시키는 남자라면 "죽여 버리면 된다."라고 끊임없이 주문한다.
자신 주위에 다가오는 사람에게 미리 살인자의 딸이라는 것을 밝힐 만큼 그녀 또한 가해자의 딸로 고통과 외면당한 시선 속에 상처를 받아왔기 때문에
그녀는 가나코의 주문에 흔들리고 결국 넘어가게 된다.
4장: 가나코의 8년과 미호의 8년은 흡사 마주한 거울과 같다.길이와 각도만 다를 뿐, 상처의 깊이는...똑같이 느껴졌다.
서로의 상처에 대한 이유는 다를지 몰라도 결과적으로 상처를 안고 가는 삶에 가나코는 미호에게 남은 인생을 죄의식으로 살아가게 하려던 계획을 바꾸어
미호와의 얽힌 운명의 사슬을 끊어낸다.
진정한 새 삶을 위해 서로 영원한 헤어짐을 택함으로써 각자 지난날의 상처로 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 지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