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파네스 희극전집 2
아리스토파네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41128-241212

이 책은 여인들을 중심으로 한 세 편과 신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두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인들의 연대를 통해 당시 사회를 풍자한 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여인들의 성 파업으로 종전을 이끌어내는 <뤼시스트라테>, 남자들의 감시와 구속을 불러온 에우리피데스를 처벌하기 위한 여인들의 비밀 회동을 다룬 <데스모포리아 축제의 여인들>, 그리고 여성들이 주권을 차지하여 그리스 정치와 사회를 개혁하는 <여인들의 민회>. 이들 작품은 모두 여인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당시 그리스 사회의 현실과 모순을 날카롭게 풍자하고 있다.

디오뉘소스가 저승으로 내려가 아이스퀼로스와 에우리피데스의 가상 경연을 벌이는 <개구리>와, 부의 신과 가난의 신이 논쟁을 벌이며 인간 사회의 문제를 조명하는 <부의 신>, 이들 작품은 인간적인 신들의 모습을 통해 그리스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려는 점에서 돋보인다.

이들 희극은 하나같이 기발한 상상력과 논쟁을 통해 현실을 희극적인 방식으로 냉철하게 인식하도록 돕는다. 비극과 희극의 경연을 통해 폴리스를 이끌어간 대중지성의 향연을 엿볼 수 있으며, 특히 희극에서는 코로스나 배우가 관객들에게 직접 말을 걸고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공감대를 크게 형성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연극이라는 공연 예술은 과거뿐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집단지성의 장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너희 소원이 이루어지면, 내 장담하건대, 너희에게 조금도 덕이 안 돼. 부의 신이 시력을 회복하여 자신을 똑같이 분배한다면, 세상에 예술과 기술에 종사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거야. <부의 신> 中 - P3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먼나라 이웃나라 17 : 동남아시아 - 시즌 2 지역.주제편 먼나라 이웃나라 17
이원복 글.그림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동남아시아 역사 복습 겸해서 역시 만화로 된 동남아시아 편을 읽었다. 지명이나 인명 등의 표기가 좀 다르기는 해도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몇십만 명씩 학살되는 건 보통인 듯한 동남아시아 역사가 가슴 아팠지만, 지리적 이점을 살리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와 민족이 공존하는 실험장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 제4권 부패와 자각의 시대 - 믿고 보는 신일용의 인문교양 만화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4
신일용 지음 / 밥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리멸렬한 부패와 군부 쿠데타 이야기가 끝도 없이 이어지는 느낌이다. 그런 가운데에도 민주화 시위 등 각성이 일어나기도 하지만 선거로는 바꿀 수 없는 정치의 한계도 엄존한다. 어쩌면 이렇게 우리와 닮았나 싶은 자괴감과 동질감도 있는 반면 어쩌면 이렇게 우리와 다른가 싶은 놀라움과 이질감도 있다. 동질적인 문화와 민족을 가진 우리 시각으로는 그들을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있지만 식민 피지배 경험이나 그 후의 세계 정세를 같이 겪으면서 생긴 운명 공동체의 느낌도 있다. 동남아를 알기 위해서는 힌두교, 이슬람교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고 보다 적극적인 교류가 필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 제2권 탐욕과 정복의 시대 - 믿고 보는 신일용의 인문교양 만화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2
신일용 지음 / 밥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은 버마(미얀마)와 시암(태국), 비엣남(베트남)의 역사 이야기가 이어진다. 동남아의 강자였던 버마가 개혁을 우습게 여기다가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시암은 당시의 국제 정세와 개혁적 군주 덕에 유일하게 독립 국가의 지위를 유지했다. 비엣남의 원래 이름은 남비엣(남쪽 너머의 오랑캐)였는데 청나라 황제가 명칭을 거꾸로 바꾸어 비엣남, 즉 베트남이 되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베트남은 북부와 남부의 문화와 인종이 확연히 다른 나라라는 사실도. 유교권 문화를 받아들인 북베트남은 조선과 매우 비슷한 기질과 역사를 보여준다는 사실이 흥미로웠다. 반면 남베트남은 매우 개방적인 면모가 강하다.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영국은 버마에서 물러갔지만 프랑스는 재점령했고 미국도 묵인했다는 건 베트남의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우리의 현대사와 많은 부분이 오버랩되면서 씁쓸하기 그지없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 제1권 바다와 교류의 시대 - 믿고 보는 신일용의 인문교양 만화 우리가 몰랐던 동남아 이야기 1
신일용 지음 / 밥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역사는 만화가 최고다. 복잡하기 그지없는 동남아시아의 역사를 이토록 쉽고 재미있게 알기도 쉽지 않을 것 같다. 물론 여러 번 읽어야 어느 정도라도 기억하겠지만 대충 감이라도 잡기에 만화보다 좋은 게 있을까. 네 권을 언제 다 읽지 싶었지만 언제 다 읽었지 싶을 정도로 빠져서 한 권을 금세 읽었다. 같은 아시아인데도 문화가 워낙 달라서 멀게만 느껴지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한층 가깝게 느껴진다. 두 나라가 두 나라가 된 것은 영국과 네덜란드의 식민 정책 때문이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동안 어렴풋이 들었던 수많은 것들이 이제야 내 머릿속에서 제 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그만큼 동남아시아의 역사는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다른 듯 비슷한 역사이기도 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