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는 사계절이 뚜렸하다.
봄에는 개나리, 진달래, 목련, 철쭉 등 여러 꽃들이 핀다.
여름에는 덥고 비가 많이 온다, 나무들은 서로 초록을 뽐낸다.
가을에는 울긋불긋 단풍이 든다, 날씨는 서늘하고 하늘은 맑다.
겨울에는 춥고 바람이 많이 분다. 하얗게 눈이 내리는 날도 있다.봄이 시작된다는 입춘이 되면 대문이나 기둥에 입춘대길이라고 써 붙였다. 그런데 입춘은 언제 어떤 것일까?
입춘은 약력 2월 4일 경이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와 낮과 밤이 길이가 똑같은 춘분의 한가운데에 있는 날이다. 이 날 부터 봄의 시작이다.
그 다음에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는다.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 지나면 얼었던 땅이 녹는다. 그런데 여기에 경칩은 양력 3월 6일경이다. 경칩을 말이다. (런데 경칩하니까 김경집이 왜 생각나지?ㅋㅋ) 

봄에는 쑥을 뜯어서  떡을 해 먹고 냉이를 캐서 국을 끓여 먹었다. 삼월 삼짇날에는 진달래 화전을 부쳤다. 삼원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로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느 날이다. 남자 아이드은 버드나무 가지로 피를 만들어 불고 여자 아이들은 풀로 각시 인형을 만들었다, 

망종인 양려 6월 6일경 곡식의 씨앗을 부리기에 적ㅎ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모내기에 알맛은 때로 1년 중 가장 바쁘다. 

그 다음인 다오는 음력 5월 5월이며 단오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우리 니라 4대 명절에 속하는 닐이다. 음력은 5월은 비가 많이 오는 계절로 접어드는 달로 나쁜 병이 유행하기 쉽다고 해서 이를 막기위한 여러 가지 풍ㅅ브이 생겼다. 익모초를 캐서 삶아 먹기도 했다. 

대서는 양력 7월 23일 경인데 장마가 끝나가고 더위가 시해지는 때이다. 과일 맛이 가장 좋을 때이기도 한다. 

처서는 양력 8월 23일경인데 처서는 더운 기운이 물려난다는 뜻이다. 처서가 지나면 햇볕이 누그러진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소담처럼 필 모기도 서서히 사라진다고 한다. 

추석인 음력 8월 15일에는 한 해 농사와 추수에 감사드리는 날고 한가운 중추절일고 한다 . 송편을 만들어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ㄹ고 성묘를 해따. 마을 사람들은 줄다리기며 강강술래를 하며 잔치를 별였다. 

입동은 양력 11월 7일경인데 이 날부터 겨울이다. 입동은 물이 얼고 땅이 얼기 시작하는 때이다. 입동 직후에 김장을 해야 제 맛이 난다고 한다. 

양력 12월 22일경인 동지는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짓날에는 팥줄애ㅣ 쑤어 먹는데 흔히 나이 수만큼새알심을 먹었다.  

음력 1월1일인 설날, 새해의 첮날로 아침 일찍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어른들께 새비를 드린다, 새해 음식으로 떡국을 껋여 먹고 온 가족이 윷놀이를 하며 놀았다. 여자들은 널뛰기를 ㅏ고 나마자들은 연날리기를 했다. 

이렇게 봄부터 겨울까지의 명절들이 끝이 났다.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00년 후 지구에는 90억 명 정도가 되는 사람들이 산다고 한다.  

그런데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어 석유나 석탄을 태워서 이산화탄소가 나와서 온실 유리처럼 지구를 빙 둘러싼다, 그래서 지구가 더워진다, 바로 온실 효과이다.  

지구가 더워지면 북극과 남극의 방하가 녹아 내린다.방하가 녹아 내리면 바닷물이 많아져서 바다 높이가 올라간다. 그러면 낮은 섬나라들은 잠기지도 모르다. 바닷물이 모래사장까지 차올라 모래성을 쌓으며 놀 수 없을지도 모른다. 

지구가 더워지면 세계 곳에서 홍수나 가뭄이 더 자주 일어나 어떤 곳에서는 이제껏 없었던 큰비가 내리고 또 어떤 곳에서는 가뭄이 계속된다. 느닷없이 푹풍이 덮치거나 큰눈이 내리기도 한다. 지구의 기후가 종잡을 수 없게 된다. 

지구가 더워지면 서늘한곳에서 살던 나무는 살기 힘들어 줄을지도 모른다. 그러면 숲이 없어지겠고 땅은 점점 더 메말라서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이 100년 후에는사막이 될지도 모른다. 

지구가 더워짐녀 쌀 보리 옥수수가 자랄수 있는 땅이 말라 버려서 농사를 지을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굶주려서 죽을 수도 있다. 

석유나 석탄을 태우면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나쁜 기체들이 나와서 그것이 비에 녹으면 산성비가 내린다,그래서 동식물과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 

지구가 더워지면바닷물 온도가 올라가산호다 살기 어려워진다, 차가운 물에서만 사는 물고기들은 살 수가 없다. 

지구가 더 더워지만 북극이나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아 북극곰이 펭군들은 살 곳이 없어져 계속 헤엄져 다녀야 한다. 

100년 후의 지구를 상상한 이 책을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넌)위 제 3차 평가 보고서를 과학적 근거로 했다. 이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지금부터 100년 안에 지구의 평균 기온은 약 5.8`c올라 가고 바닷물의 높이는 약 88cm 높아진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100년 후의 지구를 상상하며 환경을 다시 되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캄프리아노는 부지런한 농사꾼이었지만 정말 똑똑한 사람이기도 하다.

지금부터 캄프리아노와 함께 이야기 속으로 Go~! Go~!

옛날 이탈리아의 작은 마을에 한 농부인 캄프리아노는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매일매일 쉬지 않고 일했다. 힘이 약하고 행동이 느려 터진 늙은 노새를 부렸기 때문에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수확은 형편없이 적었다.

한편 이웃에는 눈만 뜨면 캄프리아노를 비웃어 대는 두 농부가 있었다. 캄프리아노는 정말 바보라면서 말이다. 하지만 캄프리아노는 두 농부의 말을 듣는 둥 마는 둥 열심히 일만 했다. 그 것을 보는 두 농부는 꿀 먹은 벙어리고 되었다면 놀려 댔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이었다. 캄프리아노는 밭일을 나가려다가 그 두 농부 때문에 생각에 잠겼다가 늙은 노새에게 금화를 먹이고 계속 일을 하다가 저녁때가 되어 두 농부가 캄프리아노를 비웃으며 집으로 돌아갈 때쯤 캄프리아노는 얼른 늙은 노새를 몰고 농부들의 뒤를 따랐다. 그러다가 앞으로 갔다. 그런데 갑자기 걸음을 딱 멈추더니 길바닥에 똥을 뿌지직 쌌다. 그것을 보더니 그 두 농부가 그 것을 비싼 값에 샀다.

그런데 노새가 그냥 똥만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두 농부는 화가 났다. 그 것을 알고 있는 캄프리아노는 다시 한 번 혼내 주기로 마음 먹었다. 그래서 아내에게 점심때에 맞취 냄비에 따뜻한 수피를 끓여 찬장에 넣어 두라고 했다.

두 농부가 몽둥이를 들고 캄프리아노를 찾아왔다. 그 것을 풀어주는 것처럼 하면서 다시 속여서 그 것도 좋은 값에 팔았다.

그래서 두 농부는 자루를 들고 당장 캄프리아노의 집으로 쳐들어가서 연못에 빠뜨릴려다가 젋은 농부 덕분에 살았다. 또 암소도 얻었다.

그리고 두 농부의 앞에 캄프리아노가 딱 있는 것이다.그래서 두 농부는 캄프리아노 대신 들어간 젋은 농부가 있는 자루를 연못 속으로 던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리둥절했다.또 그 곳에 좋은 암소가 있다고 해서 두 농부는 연못으로 부리나케 달려가서 연못 속으로 들어갔다가 속은 것을 알고 더 이상 놀리지 않았다.

그 이후로 잘 살았다.

캄프리아노는 정말 똑똑한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혜임 2012-09-17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우리집에도 이책 있어요. 그러고 이책 정말 웃겨영...
제 블로그에도 좀 와주세영
 
만화 신채호 조선상고사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4
김대현 지음, 최정규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신채호가 지은 조선상고사는 어떤 책일까?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와 다른 조선상고사는 신채호는 고대사에서 그 해답을 찾는다면서 새로운 역사를 써야 한다고 생각한 신채호는 뤼순 감옥에서 조선사를 쓰다가 중간에 쓰러지는 바람에 더 이상 글을 쓰지 못하고 눈을 감고 말았다.
신채호의 원고를 <조선 일보>에 싣도록 주선했던 인재홍이란 분은 신채호가 이 신문에 연재했던 내용을 모아서 <<조선상고사>>라고 하는 한 권의 책으로 엮어내었다.
그래서 조선상고사라는 이름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쓴 신채호는 분은 누구 일까? 
신체호는 신숙주의 18대 후손이었지만 신채호가 태어날 무렵에는 집안이 몰락하여 충청도 고두미라는 시골에서 살고 있었다. 따라서 신채화의 어린시절은 꾀 어려웠지만 그래도 그의 눈은 늘반짝였다고 했다. 유학자였던 할아버지 아래서 얼린 시절을 보낸 그는 할아버지 방이 있는 책을 열심히 읽고 또 읽었다. 하지만 어려운 환경 탓에 신채호의 학구열을 채워줄 수 없게 되자 할아버지는 신채호를 데리고 목천의 신기선 대감 집에 방문하여 신채호는 신대감의 허락으로 책을 읽었고 그런 모습을 보고 신 대감은 성균관이 입학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래서 여러가지 책들을 많이 보았다. 

신채호는 이 조선상고사를 쓰면서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신라가 어떻게 강해 졌는지 등 여러가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이로 이해 나는 조선 상고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고 이제 조선 상고사의 제목도 외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수는 할머니와 작은 신발 때문에 새 신발을 사러 시장에 갔어요. 

옛날 옛날 아주 오랜 옛날,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의 한머니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 일이다. 세상에는 시장이 없었다. 사람들은 하나 둘 모여 마을을 이루고 살며 눈과 밭을 갈아 쌀과 채소를 얻었다. 호미나 낫 같은 농기구는 직접 만들고 옷도 제 손으로 지어 입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다 만들 수 있는 건 아니었다. 농사잣는 농부들은 물고기를 구하기 어려웠다. 물고기가 먹고 싶으면 쌀자루를 들고 산 너머 바닷가 마을에 가서 물고기와 바꾸자고 했을 것이다. 어부들은 쌀을 박고 물고기를 내주었겠다. 물고기를 잡는 바닷가 마을에는 물고기는 많지만 쌀은 늘 모자랐으니까 말이다. 이렇게 물건과 물건을 바꾸는 물물 교환이 시작됐다. 

농부들은 물물 교환을 해서 물고기를 얻게 되엇다. 하지만 물고기를 구할 때마다 산을 넘어 바닷가까지 가는 것이 힘들었다. 그래서 산을 넘지 않아도 되는 곳에서 쌀과 물고기를 바구기로 했을 것이다. 그런 장소로는 강가가 좋다. 강가는 농부들이 산을 넘지 않아도 되고 어부들은 배를 타고 쉽게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을 온갖 물건을 들과 강가를 찾았다. 사람과 사람 물건과 물건 사이를 누비며 자기에게 필요한 물건을 찾아 다녔다. 사람들은 이곳을 시장이라 불렀다. 

시장의 유래
시장은 물물교환에서 출발하는데 교환은 거래의 이익 때문에 생겨난다. 물고기가 필요한 농부와 쌀이 필요한 어부가 서로 쌀과 물고기를 바꾸는 곳처럼 양족 모두에게 이익이 될 때에만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거래가 잘 이루이지려면 사고 파는 사람이 많아야하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해 사람이 모이기 쉬운 곳에 시장이 많이 서게 되었다. 

시장이 생기면서 돈도 생겨났다. 처음에는 쌀과 옷감이 돈처럼 쓰였지만 쌀과 옷감은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돈을 쇠로 만들었다. 그것이 건원중보이다. 

건원중보
우리 나라에서 처음 만들어진 돈으로 알려진 건원 중보이다. 고려 시대 성종 15년 (996년) 만들어 져 널리 쓰였다. 

시장이 발달하면 사고 파는 사람이 생겼다. 그 사람이 상인이다. 이 상인은 물건을 팔고 다른 사람들은 물건을 사게 되었다.이렇게 해서 여러 시장이 생겨났다. 전문 시장등 여러가지 생각한다 그런데 전문 시장이 뭘까?
전문 시장
우시장이나 어시장 처럼 같은 종루의 물건만 사고 파는 시장을 전문시장이라고 한다. 

이렇게 해서 과거의 시장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