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는 음매하고 개는 멍멍하고 짖는다.
그런데 인도의 바라나시에 음매 하고 우는 개가 있다.
바로 갠지스 강변에 사는 어린 강아지 우샤이다.
우샤는 어미 소 바르샤를 엄마로 따르며 소를 횽내 내게 된 이야기, 함께 읽어 볼까? 

갠지스 강 주변에서 태어난 우샤는 태어나자마자 엄마가 죽고 우샤도 죽어가고 있었다.
왜냐하면 젖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잠깐!!! 갠지스 강은 자연으로 인도 사람들이 성스럽게 여기는 갠지스 강이 흐르고 있다. 위치는 바라나시에 있다.)
아침에 태어나고 오후가 되자 어미소 바르샤가 죽어가는 우샤를 살려주려고 젖을 주었다. 정말 착한 소이다.
바르샤는 자신의 아들은 라무와 함께 인도의 이곳 저곳을 다녔다.
인도는 소를 신령스럽게 생각하기 때문에 소에게는 무엇이든 꽁짜로 주었지만 우샤는 강아지였으므로 하찮게 생각하였다.
사람들이 자신과 엄마가 차별하는 이유를 알아내고는 정말 속상했지만 나중에는 다시 씩씩해져서 아예 소처럼 행동을 하였고 그리하여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지금은 잘 살고 있을 것이다. 

힌두교의 나라 인도에 대해 더 알아볼까? 
수도: 현대적인 도시 뉴델리 
종교: 소를 성스럽게 여기는 힌듀교
음식: 인도의 대표 음식, 커리(우리 말로 하면 카레)
교통 : 인도의 복잡한 길거리를 누비는 릭샤
문화: 인도 사람들의 전통 옷, 사리와 도티
더 설명할 것: 인도는 땅이 넓고 사람도 아주 많이 살고 있는 나라이다.  11억 명도 넘는 사람들이 살아서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재로 인구가 많다. 

이렇게 해서 인도의 수도가 뉴델리라는 것과 인도가 땅이 넓고 사람도 두번째로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는 우샤를 보고 싶다, 정말 있는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할아버지는 옹기 지킴이???
이 책이 무엇이길래 옹기 지킴이라고 할까?
함께 알아보자. 

단지는 할아버지가 사는 시골에 가서 옹기를 만드는 체험을 해보았다. 어떻게 체험을 할 수 있었을까?  할아버지는 옹기장이었고 그래서 옹기를 만드는 동안 단지는 알 수 있었던 것이다.  

옹기는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질그릇은 진흙으로 빚어 굽기만 해서 윤기가 없고 거칠거칠한다. 오지그릇은 진흙으로 빛은 그릇에 잿물을 입히고 구워서 윤이 나고 단단하다. 오지 그릇은 김치나 간장, 된장 등 물기가 있는 음식을 담는데 적당하고 질그릇은 곡식처럼 건조한 곳에 두어야 할 음식을 보관하는데 적당하다. 

그럼 지금부터 옹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웅기를 만들 때는 흙이 필요하다.
1. 흙을 가지고 오는데 좋은 흙을 가져오는데도 나무가지나 돌 같은 것들을 없애야 하기 때문에 단지는 그 것들을 없앴다.
2. 할아버지는 흙들을 가지고 곧매를 때려준다. 곧매로 때려주어야 흙이 튼튼해지기 때문에 곧매로 때려주는 것이다.
3. 삼촌은 그 때려준 흙을 가지고 굵은 가래떡처럼 생기게 만든다. 그 것을 흙타레라고 한다. 할아버지는 그 것을 가지고 항아리를 만드는데 그릇벽을 만드는데 쓰인다.
4. 흙타래로 그릇벽을 쌓고 그릇벽을 매만져 항아리 모양으로 만든다. 그 다음으로 물레를 돌리며 수례로 그릇벽을 다듬은 후 주둥이를 만든다.
5. 그 만든 항아리를 가지고 할아버지와 삼촌은 잿물을 바른다. 잿물을 마르기 전에 그림을 그린다. 할아버지를 똑같이 닮은 도깨비를 그린 단지는 항아리를 만든다.
6. 이제 굽기만하면 되는데 거의 망친 옹기는 이 곳에서 생긴다. 그래서 깨뜨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아무튼 며칠 구은 뒤 만든 항아리를 보았는데도 50년 평생 옹기만 만든 할아버지도 잘 못 만든 것이 있다니 정말 신기하다. 50년 동안 했는데 말이다. 

그래도 정말 옹기는 대단하다. 왜냐하면 숨구멍을 있어서 장이나 김치가 썩지 않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읽은 후 가장 기억에 남은 낱말이나 사건은 써보세요


오늘 배울 것: 동굴


동굴 속에 있는 것들: 박쥐, 여러 가지 벌레들


동굴 탐사 준비물: 헬멧과 조명기구(헤드라이트, 손전등 양초), 등산화, 방수 가방, 나침반, 구급 약품, 고무 장화, 비상 식량, 간식 등


많은 동굴에는 지하수가 흐르고 있다.


살아 있는 돌, 종유석은 1년에 0.2mm밖에 자라지 않는다. 지름이 10센티미터 길이가 1미터 정도의 종유석이 되려면 무려 5만 5천년이나 걸린다,


나무처럼 자라는 석순은 동굴 바닥에서 위로 자라나는 돌이 다. 종류는 짐승 모양의 기형 석순, 쌍둥이 석순, 용암 석순


천장에서 내려오는 종유석과 바닥에서 올라오는 석순이 수십만 년 동안 자라면 드디어 하나로 이어져 커다란 기둥이 되는 데 이 것을 석주라고 한다.


유석은 벽을 따라 자라기 때문에 대개 넓고 크다. 커튼을 쳐놓은 것처럼 벽을 화려하게 장식한 것들도 있고 낙하산처럼 생긴 유석도 있다.


동굴 속의 방을 동방이라고 한다.


동굴 속의 보물들인 곡석, 뱀처럼 몸을 배배 꼬며 어디론가 기어가는 모양의 곡서, 두석, 어란석, 동굴 진주, 팝콘 모양의 석화, 달걀 모양의 프라이드 에그, 동굴신호등이 있다.


아주 오랜 옛날에 땅 속에 스며든 물이 석회암을 조금씩 녹이고 깎아 구멍을 만든다. 세월이 오래 흐르면 구멍이 점점 더 커진다. 지각 변동으로 구멍 속의 물이 빠져나가 동굴이 생긴다.


동굴의 종류는 동굴의 생김새에 때라 수직 동굴, 수평 동굴, 경사 동굴, 다층 동굴로 나뉜다.


위 활동을 하면서 알게 된 점

1.동굴 속에 있는 것들과 동굴 탐험을 할 때 필요한 것이 알게 되었는데 그 것은 박쥐, 여러 가지 벌레들이고 헬멧과 조명기구(헤드라이트, 손전등 양초), 등산화, 방수 가방, 나침반, 구급 약품, 고무 장화, 비상 식량, 간식 등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많은 동굴에는 지하수가 있다는 것을 다시 알게 되었다.
2.종유석은 1년에 0.2mm밖에 자라지 않고 나무처럼 자라는 석순과 종유석과 석순이 이어진 것을 석주라고 하며 유석은 벽을 따라 자란다.
3.동방을 동굴 속의 방이라고 하고 동굴 속의 보물들은 곡석, 두석, 어란석, 동굴 진주, 석화, 프라이드 에그, 동굴신호등과 동굴이 만들어진 것과 동굴의 종류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전 세 닢의 자유는 유럽의 이탈리아의 전래동화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재미있게 역할극처럼 표현하겠다. 

등장인물: 학자들, 대장장이, 신하, 황제 , 해설
신하: 폐하, 은전 세닢만 버는 대장장이가 있다고 하옵니다.
황제: 그런가? 그 대장장이를 불러오라.
대장장이: 왜 부르셨사옵니까?
황제: 너는 왜 은전 세 닙만 벌고 더 이상 벌지 않느냐?
대장장이: 그 은전 세 닙 가지고 자유와 휴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황제: 그럼 그 은전 세 닙은 어디에다 쓰느냐?
대장장이: 하나는 주고, 하나는 갑고, 하나는 씁니다.
황제: 주고, 갑고, 쓰고? 자세히 말해보라
대장장이: 하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고, 하나는 저를 키워주신 부모님께 갑고, 하나는 제가 먹           고 사는데 씁니다.
황제:(속으로) 정말 슬기롭군 (겉으로) 나를 백번 보기 전까지는 누구에게도 알리지 마라
황제는 학자들을 부른다,
황제: 학자들이여, 누구에게 주고, 누구에게 갑고, 무엇을 쓸까? 
학자들: 그 건......
학자들은 대장장이가 황제를 뵈었다가 간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 대장장이를 찾아 갔다.
학자들: 제발 알려주시오
대장장이: 안된다는 깐요.
학자들: 제발......
대장장이: 알겠소 금화 백 닢을 가지고 오시오
학자들은 금화 백 닢을 가지고 왔다.
대장장이는 금화의 앞 뒤를 다 보며 100인지 세었다.
대장장이: 하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하나는 부모님께 하나는 제가 먹고 사는데 씁니다,
학자들은 대장장이가 말한데로 황제께 아뢰었다.
황제: (속으로) 그 대장장이가 약속을 어겼구나! (겉으로 )알겠다. 너희들은 가고 대장장이를 불러     오라  왜 약속을 어겼으니 벌을 받아도 마땅하겠구나!
대장장이: 그래도 할 말을 하게 해주소서
황제: 해보라
대장장이; 폐하께서는 분명 폐하의 얼굴을 100번을 보고 세상에 알려도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폐하의 얼굴이 있는 금화 백 닢 하나 하나 씩 보았고 그래서 말할 수 있었습니다. 
황제: 끄응...... 알겠네. 그만 가보게 너를 놓아주는 것이 진정으로 너를 아끼는 일이겠지? 
대장장이: 그럼
대장장이는 황제에게 절을 하고 나간다. 

나는 이 대장장이의 지혜를 본받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맹꽁이 역사체험 3 - 고려 시대 태조-공양왕 편
박선희 지음, 윤승운 옮김 / 웅진주니어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은 맹꽁이 역사체험이라는 책으로 고려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려의 건국
신라 말기에는 모든 것이 어지러워졌다.
정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부패한 귀족들은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급했기 때문에 농민들이 무거운 세금을 내야 했다.
세금을 낼 수 없게 된 농민들이 집을 보리고 떠돌게 되자 여러 호족이 이들을 이끌고 힘을 키웠다. 그 중에 견휜은 유랑하는 농민들을 이끌고 후백제를 세웠고, 신라의 버려진 왕자인 궁예는 후 고구려를 세웠다.
한반도는 다시 신라, 후백제, 후 고구려 이렇게 세 개의 나라로 나뉘어 다투게 되엇다.
왕건은 상인 집안의 부유한 호족이엇다. 왕건은 궁예의 밑에 들어가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궁예의 신임을 얻었다,
궁예는 부하들의 존경을 받으며 왕이 되었지만 나중에는 누구도 믿지 못하게 되었고 격국 자신의 아내와 두 아들까지 죽였다.
그러자 궁예의 신하였던 홍유, 복지겸, 배현경, 신숭겸 같은 이들은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왕으로 모셨으며 신라의 경순왕은 신라의 운이 다했다고 생각하여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하고 후 백제와 싸워 이겨서 진짜의 고려를 완성하였다. 

거란과의 전쟁
고려를 세운 왕건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밝혔지요.
그래서 고구려의 옛 땅인 북쪽을 정복하려고 노력했다. 
고려의 북쪽에는 거란족과 여진족이 나라를 세우고 중국의 송나라와 다투고 있었다.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은 고령가 송나라와 가까이 지내는 것을 핑계 삼아 고려에 쳐들어왔다. 고려가 송과 친하게 지낸다면 요가 송과 싸울 때 불리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려가 북쪽의 땅을 내놓고 요나라의 말을 듣는다면 물러가겠다고 했다. 고려의 조정은 요나라와 화친하자는 화찬론자와 싸워서 이겨야 한다는 주전론자들로 나뉘었다. 그러나 고려 조정은 요나라의 요구를 들어줄수 없어서 결굴 요나라는 고려를 세 번이나 쳐들어갔지만 고려가 미리 준비했고 뛰었던 장수들이 열심히 싸웠기 때문에 고려와의 싸움에서 지고 자기 나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해서 고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