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써보는 독후감을 세계사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프랑스 혁명에 대해서 쓰려고 한다. 
사실 이 대혁명의 시간적 배경은 루이 16세 때의 이야기인데 먼저 루이 16세에 대해서 알아보겠다.루이 16세는 프랑스 부르봉왕조의 왕(재위 1774~1792)이며 오스트리아의 왕녀 마리 앙투아네트와 결혼하고 루이 15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정개혁을 단행하기 위해 삼부회를 소집하였으나 제3신분의 대의원들이 절대왕정에 대신하는 입헌군주제 수립을 추진하던 중 프랑스혁명이 일어나 민중의 감시하에 생활하다 처형되었다.

루이 16세와 귀족들이 평민들이 만든 국민 의회를 꺾기 위해 외국 군대를 끌어들인다는 소문이 전해지자 군중들의 분노가 다시 끓어오르면서 민병대와 시민들은 무기 판매점을 빼앗고 무기 창고를 습격해서 군중들은 소총 28000자루, 대포 5문을 얻게 되었다.

루이 16세는 루이 14세,15세 보단 덜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지만 잘못된 판단으로 인해서 혁명을 일으킨 루이 16세 지금으로선 더 잘된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정말 루이 16세은 국민들이 불만을 알아채지 못했을까?

무장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서는 화약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민병대와 시민들은 파리의 중심가에 위치한 감옥을 점령하였다. 이 바스티유는 귀족들조차 공포에 떨어 이곳에서 딴 곳으로 옮기거나 건물을 없애 줄 것을 정부에 건의 했을 정도로 무서운 유령의 집이기도 했다. 이들은 감옥을 지키는 수비대와 피나는 전투를 했고 점령되어 불길이 타오랐고 수비대들은 모두 학살되었다. 이렇게 해서 국왕 루이 16세는 혁명을 인정했으나 지방의 농민들의 목숨을 노리는 귀족들이 있다는 소문으로 인해서 습격이 계속되었으나 생각을 빨리 깨우친 젊은 귀족들은 농민들에게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앞으로 봉건적 특권을 모두 버릴 것을 다짐했다. 그러자 제 3신분 대표들로 구성된 국민 의회 으원들의 크게 감격했고 의원들은 젊은 귀족들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냈습니다. 젊은 귀족들은 이같은 발표와 함께 그동안 귀족들만의 특권이었던 사냥권, 강제 사용권 드의 포기를 선언하였다.

나라도 이 시대의 국민이었다면 분노했을 것이었다. 가난해서 살기도 힘들고 또한 특권 같은 것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사실 국회의원의 특권 면제특권이 매우 부럽다. 왜냐면 벌을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오늘은 거의 3달만에 쓰는 것이라서 시간도 많이 투자되고 매우 힘들었지만 오랜만에 한 것치고는 잘한 것 같아서 좋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2-07-22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니답다...ㅎㅎ 실력이 안죽은것가튼디??ㅋㅋ
 

이 책은 아주 쉬운 영어책이었고 읽으면서 다 이해할 수 있었지만 이 책은 내 독해력을 키우는데 기초가 되는 책부터 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 것을 독후감이라고 봐야 하나......

Jen has a pet hen. The hen is red. Jen has a pen.

Jen은 펫인 암탉이 있다. 그 암탉은 빨간색이다. Jen은 우리가 있다.

Jen's pet hen is in the pen.

Jen의 암탉은 우리에서 산다.

Is the hen sad? Jen pats the hen.

암탉은 슬프나요? Jen은 암탉을 쓰다듬어 주었다.

The hen has an egg. The hen is not sad.

그 암탉은 달걀을 가지고 있다. 그 암탉은 슬퍼하는 것이 아니다.

The egg is in the nest. The hen is on the egg.

그 달걀은 둥지 안에 있다. 그 암탉은 달걀 위에 있다.

The egg is wet! Jen pats the egg.

그 달걀이 젖었다! Jen은 달걀을 쓰다듬었다.

The egg is hot! Jen has a fan!

그 달걀은 더웠다! Jen은 부채질을 하였다.

The hen has a nap. Jen has a nap. Is it the end?

그 암탉은 낮잠을 잤다. Jen도 낮잠을 잤다. 그 것을 끝났니?

Jen has two pets. Jen is glad.

Jen은 두 마리의 애완동물이 생겼다. Jen은 기뻐했다.

나는 이 것을 통해 아직도 독해가 어렵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앞으로 더 열심해 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에는 모스 전신기, 모스 부호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837년 미국의 S.F.B. 모스와 A.베일은 전기 신호를 점과 선으로 변환, 표시하는 모스 부호와 송 · 수신장치인 전신기를 개발하였다.

1844년 워싱턴과 볼티모어 사이에 전선을 연결, 신이 이룬 일이라는 최초의 전문을 보내는 데 성공함으로써 본격적인 전선 시대의 막이 열렸고 모스 전신기란 모스 부호 등 전류 변화에 의한 신호를 전선으로 원격지에 보내고, 부속 기계(음향기)에 의해 신호를 들을 수 있는 형태로 수신하는 통신 장치를 말한다.

직접 사람의 손에 의존하는 수동이송 전신기와 기계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통신하는 자동 전신기로 나뉜다.

오늘날 모스 전신은 육상 통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국적과 언어에 상관없이 약정된 부호로 교신할 수 있다는 이점 대문에 선박의 해상 통신에서 쓰인다.

모스는 미국의 화가이자 전신기 발명자이다.

1810년 예일 대학을 졸업한 후 초상화가를 지망했으며 내셔널 디자인 아카데미의 초대 교장과 뉴욕 대학의 미술 교수를 역임했다.

1832년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미술 유학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배 안에서 최산의 전자기학에 대해 알게 된 뒤, 행해 중에 전신기에 대한 구상을 정리하였다.

마침내 뉴욕 대학의 아틀리에를 실험실로 삼고 대학 동료인 L. 게일의 협력을 얻어 점과 선으로 나타내는 저신 부호를 고안해냈다.

1837년 실험에 참관한 A. 베일이 자금과 공장을 제공하기로 하면서 전신부호를 개량하게 되며 1843년 워싱턴, 볼티모어 사이의 송신 실험에 성공한다.

그 뒤 모스의 전신기와 모스 부호는 유럽의 거의 모든 나라에서 채택되었고, 그는 17개국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번에는 국제 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국제기구 : 어떤 국제적인 목적이나 활동을 위해서 두 나라 이상의 회원국으로 구성된 조직체

◈국제연합 : 세계 평화의 유지와 인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제 2차 세계 대전 후 만들어진 세계적인 국제기구이다 = UN

-국제 연합을 전문 기구-

◈유네스코 : 교육, 과학, 문화를 통해 전 세계가 힘을 합치기 위해 만들어졌다 =UNESCO, 국제연합 교육 · 과학 · 문화 기구

◈국제노동기구 : 전 세계적으로 약자인 노동자의 노동 조건과 생활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1969년에 노벨 평화상 =ILO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 기아 문제 해결에 앞장서며 농업, 임업, 수산업 개발에 대한 각국 정부와 전문 기구들 상호 간의 역할 조정에 힘스기 위해 만들어졌다. = FAO

◈세계보건기구 : 국제 보건 사업의 지도와 조정. 회원국의 보건 부문 발전, 질병 퇴치 활동, 보건 단체 간의 협력 증진 등을 목적으로 만들었다. = WHO

◈국제통화기금 : 국제 통화 · 금융 질서 확립, 국제 무역의 확대, 생산 자원의 개발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IMF

◈국제부흥개발은행 : ‘세계은행’ 이라고도 하며 제 2차 세계 대전 후 전후 복구 자금과 개발 도상국에 대한 경제 개발 자금을 지원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IBRD

◈국제민간항공기구 : 국제 항공 운송을 발전시키고, 국제 민간 항공의 협력체제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ICAO

◈만국우편연합 : 우편 업무의 효과적 운영으로 각국 국민 간의 통신 연락을 중진하고 문화 · 사회 · 경제 영역에 있어 서로 협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UPU

-지역기구-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 아시아 및 태평양 연안 국가가 세계 경제의 지역주의와 보호주의 흐름에 대응하고 다자간 무역협상에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만들었다 = APEC

◈유럽 연합 : 대다수 서유럽 국가들이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국제 기구로 유럽 단일 화폐, 공동 외교 · 안보 정책, 공동 시민권 제도를 도입하고 이민 · 난민 · 사법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 = EU

◈북대서양조약기구 : 북대서양 주번의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등의 나라가 모여 만든 집단 안전 보장 기구이다. = NATO

◈석유수출국기구 : 석유 수출국들이 국제 석유 자본에 대한 발언권을 강화하고 기술적 ·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받기 위해 만든 기구이다. 하지만 멕시코, 미국, 캐나다 등 산유국이지만 석유 수출국 기구에 가입하지 않은 나라도 있다. = OPEC

◈G8 : G7은 전 세계 선진국 7개(독일,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가 모여서 만든 국제기구이다. G7에 러시아를 참가시켜 G8이라고도 하며 G8은 세계화를 주도하는 실질적인 세력이 되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 : 동남아시아 지역의 경제 성장, 평화와 안전을 위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 등의 국가를 만들었다. = ASEAN

◈국제원자력기구 : 원자력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물자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교환하며 핵물질이 군사적 목적으로 쓰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IAEA

◈아시아유럽정상회의 :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협력 관계를 만들기 위해 아시아 16개국과 유럽 연합 27개국이 참가하여 2년에 한 번씩 개최하는 회의이다. = ASEM

◈세계무역기구 : 국제 무역 확대, 회원국 간의 무역 분쟁 해결, 세계 교역 등 세계 경제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만들어졌다.

= WTO

 

-국제적인 NGO-

◈국경 없는 의사회 : 전쟁, 기아, 질병, 자연재해 등으로 고통 받는 세계 각 지역의 주민들을 돕기 위해 만들었고 1999년에는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 MSF

◈그린피스(Greenpeace) : 멸종 위기에 있는 동물들을 보호하고 환경 훼손을 막으며, 환경을 더럽히는 기업이나 정부와 직접 맞서 싸우는 등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구의 벗 : 세계 3대 환경 보호 단체 가운데 하나로 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FOEI

◈해비타트(Habitat) : 전 세계 집이 없는 서민의 주거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봉사 단체이다.

<느낀점>

이렇게 해서 국제기구에 대한 사전 방식의 독후감을 끝이 났는데 이렇게 보니 정말 국제기구의 수가 정말 많고 이 기구들로 인해서 우리가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기구들에게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서 고맙다.

이것으로 국제기구 사전편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2차 세계 대전을 모든 것을 바꿔 버렸다.

누구도 여상치 못하였던 승리를 거둔 소련이, 베를린을 점령하기 위해 거쳐 갔던 동유럽의 국가들을 서부 방벽에 편입시킬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동독은 구 소련의 안보에 최전선이었으며 , 베를린 장벽을 그 것의 상징이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구 소련이 붕괴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만들어졌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는 구 소련 군부 강경파의 쿠데타 가담을 촉진 시켰고, 쿠데타는 연방의 붕괴를 가져오는 결정적인 역할을 헤게 되었다.

1990년 탈냉전 시대가 도래하고 국민들의 거센 민주화 요구가 동독 정부를 무너지게 하자 소련 군부는 당황하였다.

이들은 조국의 안보 장벽이 무너진다는 위기감에 당시 대통령 고르바초프에게 군사 행동에 나설 것을 건의하였지만, 그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고르바초프는 미국과의 회담에서 통일 후 독일이 북대서양조약기구에 가입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은다는 뜻을 밝힘으로써 독일의 통일에 아무런 제동을 걸지 않았다.

그러자 고르바초프 대통령에게 회의를 품은 군부 강경파는, 보수 진영과 함께 고르바초프에 대해 제재를 가하기로 결의하고 1991년 8월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쿠데타는 사흘 만에 실패로 끝났으며, 그 해 12월 소비에트 연방은 해체되었다.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함께 독일이 겪었던 일을 많았다.

하지만 장벽의 붕괴와 소련또한 어떻게 붕괴되었는지 알게 되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