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부터 미확인 비행 물체에 대한 궁금증을 가져 보지 않은 친구는 없을 것읻. 그리고 지금도 미확인 비행 물체를 봤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고 또 그들은 미확인 비행물체의 무습을 담았다는 사진을 보여 주기도 한다. 과연 미확인 비행 물체는 실제로 존재하는 걸까? 정확히 말하면 지금까지 미확인 비행 물체의 존재에 대해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없다. 지난 해 말 영국에서 렌들셤 파일이란 미확인 비행 물체 목격담에 대한 비밀 문서가 공개된 일이 있었다. 20여 년 동안 미확인 비행물체의 신비를 추적해 보자. 풍부한 상상력과 함께 고고~! 

렌들셤 파일에는 미확인 비행물체가 땅에 박혀 있는 주위에 방사능 수치를 나왔는데 방사능 수치는 정상보다 2배 이상을 더욱 넘었다. 정말 놀라운 사실이다. 

미확인 비행물체의 종류는 접시형, 돔형, 토성형, 반구형, 삼각형, 시가형이 있는데 접시형은 비행 접시라고 부르는 UFO가 바로 이 모양이며 마치 두 장의 접시를 마주 보게 포개 놓은 듯한 모양이다.  

그 것들의 형태는
돔형은 표준형 UFO로 알려진 접시형의 UFO와 매우 비슷하며 원반의 중앙 부분에 돔이 있다.
돔형 UFO에는 돔을 모양이 뽀족한 것과 둥근 것이 있다.
토성형은 돔형 다음ㅇ로 많이 목격되면 구형에 토성과 같이 중앙 부분에 둥근 띠를 두르고 있다. 반구형은 둥근 공을 반쪽으로 잘라 놓은 듯한 모습이며 드물게 목격된다고 한다.
삼각형은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위 UFO를 말하며 각각의 모서리와 중앙 부분에 밝은 등이 달려있다. 
시가형은 서양인들이 담배입을 돌돌말아 피우는 시가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중앙 부분이 볼록하고 양끝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기울어 진 모양이다. 흔히 모선으로 불리며 정찰을 하는 소형 UFO를 싣고 다닌다고 한다. 이와 비슷한 모양으로는 원통형이 있다. 

이렇게 해서 UFO와 더 가까워 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에서는 여러 건국시조와 근초고왕과 선덕여왕에 대해서 써보겠다.

단군 우리 민족의 시조이며 우리 민족이 세원 첫 나라인 고조선(위만조선과 단군이 세운 조선을 구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의 첫 임금이다. 단군 왕검또는 환웅천왕이라고도 한다. 단군에 관한 이야기는 삼국유사 기이 편에 실려있는데 이 기론은 중국의 위서와 우리나라의 고기를 인용하 것이라고 한다.
동명왕 고구려의 시조로 부여의 왕 금와의 궁궐에서 유화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성은 고씨 이름은 주명이며 추모. 상해, 추몽, 중모, 도모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온조왕 백제의 건국 시조로 고구려 시조인 동명왕 주몽의 아들로 기원전 18년부터 기원후 28년까지 왕 위에 있었다고 한다.
근초고왕 요즘 드라마에 나오는 사극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백제의 제13대 왕으로 제 11대 비류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고 근초고왕은 백제의 전성 시대를 연 왕으로 일본 왕에게 칠지도를 하사했다.
박혁거세 신라의 건국 시조로 박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재위 가간은 기원전 57년에서 기원후 4년까지이다.
선덕여왕 신라의 최초의 여왕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최초의 여왕인 신라 제 27대 왕의 성읜 금씨 이름은 덕만이다. 진평왕의 맏딸로 632년에 진평왕이 아들 없이 죽지 화백 화의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른 뒤 647년까지 나를 다스렸다.
수로왕 가락국의 건국 시조로 김수로를 말한다. 42년 3월의 어느 날 가락국의 족장이었던9간을 비롯한 수백 명의 무리들이 구지봉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이끌려 그 봉우리로 올라갔다. 노래를 부르니 황금 상자가 이썽ㅆ다는 가운데 제일 먼저 태어난 아이가 수로이다.
고왕 발해 건국의 시조로 대조영을 말한다.
견훤 신라의 장군이었지만 후백제의 건국 시조이기 한다.
궁예 신라의 왕자였지만 후 고구려의 건국 시조이기도 한다.
태조 왕건으로 고려의 건국 시조이다.

이렇게 해서 여러 건국 시조들과 근초고왕과 선덕여왕에 대해서 잘 알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구에는 우뜩 솟은 산도 있고 깊은 바다도 있고 넓고 평평한 평야도 있다. 지구의 표면은 외 이렇게 고르지 않고 울통불충할까요? 언뜻 보기에 전혀 변할지 같은 땅도 사실은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다. 

지구는 46억년 전에 태양계가 생길 때 다른 행성들과 함께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우주 공간의 가스 얼음 먼지가 모여들어서 빠른게 돌아 큰 덩어리로 뭉쳐 졌다고 나머지는 행성이 되었다. 처음 생겨났을 때 지구는 뜨겁게 녹은 암석들고 이루어졌다. 시간이 지나 바깥쪽의 암석인 지각이 굳게 되었다. 이 곳에서 염산이 녹여 있는 비가 수천년동안 내리면서 그 넓디 넓은 바다가 만들어졌다. 

지구는 점점 더 단단하게 굳어져고 지각 밑의 아주 두꺼운 맨틀이 되었다. 그리고 지각은 편이라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었다. 판은 천천히 움직이며 부딪치기도 하고 겹쳐지기도 했다. 서로 부딪쳐 솟아오른 곳에는 높은 산과 산맥이 생겨 났다. 그리고 어느 곳은 사막. 어느 곳은 넢은 평야가 고 강이 만들어졌다.  

우리는 느끼지 못하지만 땅은 판이라는 덩어리로 조각조각 나눠어져 움직이다가 서로 부딧치면 지진이 일어나거나 땅이 위로 솟아올라 산과 산맥이 된다. 세계의 지붕인 불리는 히말라야 산맥도 판과 판이 부딧친 것이다. 

하지만 평평한 곳도 있다. 이 평야에서는 논과 밭, 대도시등이 있다. 한마디로 사람들이 가장 많은 사는 곳이다. 

이렇게 해서 산과 함께 지구의 탄생과 함께 산의 탄생 그리고 산과 평야에 대해서 정말 잘 알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멋지당 2013-04-21 0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ㅎㅎ
 

지구 밖으로 다른 처내체에는 무엇이 있을까? 드넓은 우주에는 또 무엇이 있을까? 이런 궁금증을 풀리고 과학자들은 많은 우주선을 쏘아 보냈다. 때로는 사람이 직접 우주선을 타고 가기도 했다. 그 덕분에 우리는 다른 천체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그 알게 된 내용을 설명해보겠다. 

영화나 만화에는 우주의 모든 곳을 돌아다니지만 실제로는 돌아다니지 않는다. 우주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라는 태양계가 있다.   

우주를 탐험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을 뿌리쳐야하는데 이 지구의 중력을 뿌리치고 나오기 위해서는 11.3킬로미터의 속도로 와야 한다. 1단계 로켓이 연료를 다 태우고 떨어져 나가면 이어서 2단계 로켓이 불을 뿜기 시작했다. 2단계 로켓도 연류를 다 쓰면 3단계 로컷이 불을 뿜는다.  

이런 것 중에 지구를 도는 인공 위성과 우주선이 있다. 우주선은 1회 사용 이므로 우주 왕복사을 만들었다. 그래서 만든 것이 우주 정거장이다. 우주선이 연료를 졀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주의 역사는 이렇게 된다. 50년도 안되었다.
1861년 : 러시아 사람인 가가린이 인공 위성을 타고 지구 둘래를 돌았다. 1662년에는 암스트롱이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에 내려거서 발자국을 낳기 뒤에 간다.1973년에는 우주에서 생명 대한 연국를 하기 위해 스카이 랩 우주 정거장을 만다.
1981년 우주 왕성이 만들어졌다. 1986년에는 우주 정거장이 있.다. 

이렇게 해서 우주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버스. 승용차. 트럭. 구급차. 소방차......
오늘날 자동차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도 힘들다. 그런데 자동차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달리는 걸까? 자동차 속을 들여다보고 그 원리를 탐구해 볼까? 

말 대신 기관의 힘으로 수레를 끈다. 맨 처음 자동차는 증기 기관을 단 증기 자동차여쏙말이 있던 자리에 증기 기관이 놓여 있다. 이 것을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군인이었던 퀴뇨이다. 

견인차 : 다른 차를 끌고 갈 수 있게 만든 차
경주용 자동차 : 자동차 경주 대화에서 선수들이 타는 차
구급차 : 응급 환자를 병원으로 실어 나르는 차이다.
소방차 : 불을 끄는 장비를 갖춘 차이다.
트럭 : 짐을 많이 실어 나를 수 있게 만든 차 

이렇게 많은 종류의 자동차들이 있는데 이 차들은 엔진의 힘으로 움직이다.
그렇다면 엔진 실린더 안에서 일어나는 일은 어떻게 될까? 

흡기 : 흡기 밸브가 열리며 연료와 공기가 실린더 안으로 들어온다.
압축 : 흡기 밸브가 닫히고 피스톤이 올라가며 연료를 공기를 압축한다.
폭발 : 점화 플러그에서 전기 불꽃을 일으키면 연료와 공기가 폭발한다.
배기 : 배기 밸브가 열리며 타고 남은 가스가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렇게 해서 엔진 실린더 안에서 일어나는 일과 차의 여러 종류에 대해서 하는 일과 함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