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사랑한 시옷들 - 사랑, 삶 그리고 시 ㅣ 날마다 인문학 1
조이스 박 지음 / 포르체 / 202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개인적으로 내가 굉장히 좋아하는 종류의 책이다. 나는 원문을 읽는 것을 좋아하고, 나 역시 그 원문을 느끼고, 또 전문가가 아닌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전문가의 시각으로 또 한 번 바라보고, 그 뒤 내가 다시 그것을 느끼는 독서법을 좋아한다.
(책의 판본이 읽기 편한 사이즈로 조금은 클래식한 표지지만 그 점도 좋다)
인터넷과 미디어의 발달로 말미암아 우리는 말과 글이 넘치는 세상을 살아간다. 말과 글이 너무나 많아 어떤 말을 들어야 하는지조차 알 수 없을 정도다.
우리는 인생을 살면서 어떤 삶을 살아야 하고, 어떤 길을 걸어가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를 원하는데 세상이 너무나 복잡해지기 때문에 쉽게 알 수가 없다.
이 복잡한 세상에서 저자는 '시'라는 길을 찾았다.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심성과 의미를 전하는 시가 지금에 와서 어떤 해답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체의 길이 없는 듯 싶다가도 어딘가로 헤치고 나가다 보면 그것이 또 하나의 길이 되고, 밀림에서 한참을 서성이다 아롱거리는 상아를 마주하는 순간이 분주한 하루의 끝에 시를 읽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 조이스 박 교수는 삶을 거대한 텍스트로 읽어내는 데 남다른 감각을 선보이고 있다. 유려한 언어실력과 깊이 있는 통찰과 사색을 바탕으로 죽기 전에 우리가 반드시 읽어야 할 세계의 명시 30편을 '사랑', '사람' 그리고 '시'라는 시옷들로 풀어내고 있다.
세상에는 다양한 시옷이 있다. 코로나19 속에서 집에서 '술'로 무료함을 달래는 사람, '쇼핑'으로 허기를 채우거나 또는 가족, 이성에 관한 '사랑'으로 모두 자신만의 의미를 찾는다.
그리고 고된 하루에 몸과 지친 마음을 '샤워'로 씻어내고 앉아서 이 책의 '시' 한 편을 읽으면 너무나 좋았다. 하루에 한 편 이상은 일부러 읽지 않고, 남겨뒀다.
뭐랄까. 책이 넘어가는 것이 아깝다고나 할까? 그래서 사실 이 리뷰를 쓰는 순간 아직 15편 밖에 읽지 못했다.
저자가 이 책에 나온 에밀리 디킨슨의 <늘 사랑했다는> 시를 직접 읽어주는 유튜브도 봤는데, 이런 저자의 해설을 만들어서 유튜브로 제작해 주는 것도 요즘은 능동적인 독서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감명 깊은 시 두어편과 구절을 소개한다.

(저자에 에드워드 이스틀린 커밍스에 대한 짧은 소개가 나온다.)

감정이 먼저 ----- 에드워드 이스틀린 커밍스
감정이 먼저예요
사물의 통사 구조에 신경 쓰는 자는
온전하게 당신에게 키스 못할 거예요
그건 봄이 이 세상에 있는 동안
온전한 바보가 되는 거니까
내 몸을 흐르는 피가 그게 맞다고 하니
키스가 지혜보다 더 나은 운명이네요
아가씨, 내, 세상의 모든 꽃을 걸고 맹세하는데
울지 말아요
- 내 머리가 온갖 재주를 부려도
파닥이는 당신 눈꺼풀만 못하니까요
그 파닥임으로 우리가
인연이라고 말하잖아요. 그러니
내 팔에 안겨 기대어 웃어요
삶은 글의 한 토막이 아니고
죽음은 괄호 넣기가 아니니까요
여기에 해설이 따라온다. 한 사람 전체가 온다
Wholly라는 표현은 '완전히'라는 뜻이다. whole이 전체를 이르므로 '전체를 아울러서'를 뜻하는 '전적으로'의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wholly kiss를 한다는 표현은 의문스럽다. 전적인 입맞춤이 있으면 partly kiss, 그러니까 부분적 입맞춤도 있다는 말인가 싶은 것이다.
시에서 시인은 온전하게 키스한다는 것, 전적으로 키스하는 것은 바보가 되는 일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사물의 통사 구조나 따지며 매사를 이성적으로 분석하는 사람은 자신을 쏟아부으며 몰입하는 사랑을 하기 힘들다는 소리다.
커밍스는 대문자 쓰기를 거부한 시인이다. 심지어 'i'조차 대문자로 쓰지 않는다. 그는 I(나)의 거대함을 참지 못하는 시인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시에는 대문자가 쓰였다. Spring(봄)이고 다른 하나는 Don't cry(울지 말아요)의 Don't이다. ---p.96
봄이라는 계절이 주는 그 폭발성, '울지 말아요'라는 구절에 쓰인 대문자 또한 시인이 그것을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감정이 먼저다. 그리고 사랑은 전체다. 두 사람이 사랑한다는 것은 전체로서 서로에게 간다는 뜻이다.
그 뒤는 영시로 배우는 영어로 영어에 쓰인 표현을 정말 영어식 표현으로 알려준다.
어제 읽은 Day14의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말레이의 시다.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말레이는 솔직히 처음 본 시인인데, 이 시인의 소개에는 한 때 고대 그리스 시인 사포 이후 가장 위대한 여자 시인으로 불리며 각광을 받았으나, '파티 걸', '모르핀 중독', '모험심 넘치는 양성 연애'등의 삶 때문에 시가 가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그것은 20세기 여자 문학가의 삶에 쓸데없이 많은 관심을 쏟았기 때문이고, 21세기가 되어 말레이의 시는 삶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문학 자체로 재조명되고 있다.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늘 본능과 이성 사이에서 변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에서 '여자로 산다는' 건 본능뿐만 아니라 이성 또한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게 된다는 의미를 가진다. 외부의 억압과 괄시 안에서 삶을 스스로 변주하겠다는 주체성을 발휘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p.150
사랑을 완성이 삶의 목적이 비참해지기 쉽다. 사랑받아 행복한 삶을 꿈꾸라는 것도 아니다. 사랑을 받는다고, 또 주는만큼 돌려받는다고 행복한 것도 아니다. 세상은 그렇게 공평하게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우리는 고통과 슬픔과 괴로움과 기쁨들로 충만한 삶에서 비로소 웃을 수 있다. 본능과 이성을 잘 변주할 때, 능숙하고 세련되게 삶의 노래를 끝까지 연주해 보일 수 있다. ---p.152
Am urged by your propinquity to find
Your person fair,
지척에 있는 당신이 얼마나 멋진지 알아보겠다는
충동에 휩싸이죠
find는 3형식 일때는 찾다 라는 뜻이지만 5형식에서는 ~하다는 것을 알게 되다, 의역하면 ~하더라로 풀이하면 된다고 알려준다.
"I found the movie very intriguing." "그 영화 아주 흥미롭더라." 처럼 쓸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여기서 소개된 시에 쓰여진 명문장을 통해 영어의 품격을 쌓아 갈 수 있다. 영시 읽기라는 새로운 즐거움을 맛보게 해준 책이었고, 여기에 더해 영어와 영문법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조이스 박 교수가 알려주는 고급 영문법이나 어휘, 고어, 우리가 몰랐던 영어의 어원등이 두루 담겨진 시집과 지혜를 함께 알려주는 교양서적이다.
이 책은 날마다 인문학 시리즈의 첫번째 책으로 일생에 한 번은 만나야 할 인문 교양서로 한 권의 책으로 풍부한 인문학 지식과 삶의 지혜를 담은 책을 소개할 것 같다.
기대되는 시리즈다.
아직 반 정도 남았는데, 책이 넘어가는 것이 아까울 정도이다. 조이스 박 교수님의 내가 사랑한 OO으로 속편이 나왔으면 좋겠다.
* 쌤앤파커스 출판사의 '내가 사랑한 시옷들'을 뜻깊게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