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맘 때 사진가 다이앤 아버스에 관하여 읽고 있었다.
A young man in curlers at home on West 20th Street, 1966 - Diane Arbus - WikiArt.org
"내가 묘사하려고 하는 것은 자신을 버리고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그게 바로 이 모든 게 조금씩 이야기하고 있는 바다. 다른 사람의 비극이 자신의 비극과는 다르다는 것."
"나는 좀 두 얼굴의 인간 같다. … 그건 정말로 뭐랄까 괴로운 일이다. 나는 그냥 너무 나이스하다. 모든 게 우와아아이다. 내 입으로 ‘멋져요’라는 말을 하면… 그건 정말 진심으로 멋지다고 말한 거다. 그건 내가 그런 모습이면 좋겠다는 뜻이 아니다. 내 아이들이 그런 모습이면 좋겠다는 뜻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키스하고 싶다는 뜻이 아니다. 하지만 진심으로 그게 놀랍도록, 부정할 수 없도록 대단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불행에서 면제받아 괴로워하느니 세상의 역경을 만나겠다는 아버스의 결심이 손택이 주장했듯이 나이브하건 아니건, 아버스는 "트라우마를 가지고 태어난" 자신의 기형들을 늘 "왕국"과 "귀족"과 결부시켰다.
그녀는 사진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치료되어 해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고통을 택했다.
"내가 찍지 않았다면 아무도 보지 않았을 것들이 있다고 나는 정말로 믿는다."
〈웨스트 20번가 집에서 컬을 말고 있는 젊은이, 뉴욕〉(1966)에서 머리카락의 컬, 밀어버린 눈썹 위에 진하게 그린 선, 부드럽게 열린 입술이 시사하는 여성성의 가면은 턱에 희미하게 보이는 수염 자국과 우아하게 담배를 들고 있는 너무 큰 손과 굵은 손가락, 매니큐어를 한 손톱에 의해 거짓임이 드러난다. 젊은이의 눈은 카메라를 대담하게 바라보며 자신이 바라는 이미지와 자신이 만드는 이미지 사이의 틈에 도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