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자 작가의 상 받은 작품들을 모은 '다시 시작하는 아침'에 실린 이상문학상 수상작(1992) '숨은 꽃'을 읽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숨은꽃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권영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5087&cid=41708&categoryId=41737


아래 옮긴 부분에 등장하는 '지브란' - 칼릴 지브란 - 이란 별명을 가진 동년배의 지인은 추리하여 검색한 결과 고 이을호가 모델 같다. (1955년 생 동갑 양귀자와 이을호는 둘 다 전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 사회의 억압 구조에 분노하는 청춘”…이을호 전 민청련 부위원장 별세, 향년 67세]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1270918001 (2022년 1월)


민주화운동청년연합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8893


철학을 전공한 고 이을호는 철학사(중원문화) 세트 번역발간에 참여했다. 




Magic, 2015 - Bernadette Resha - WikiArt.org


[양귀자, 내 인생의 결정적 순간] https://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7040600237





그가 다시 지브란의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난 것은 지난 겨울이었다. 나는 그때 무슨 일로 한 화가를 만나고 있었다.

화가와 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도중에 그가 들어왔다. 나는 그때 끝내 그를 알아보지 못하였다. 그도 갈래머리 여고생 시절의 나를 기억할 리 만무했다. 격식도 없이 불쑥 들어온 이 방문객은 화가가 권하지도 않는데 의자 한쪽에 주저앉아 조용히 우리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손님? 아, 그 친구. 괜찮습니다. 사나흘에 한 번씩 와서 저러다 가니까요. 밥이나 한번 사주려 해도 꼭 자기 있고 싶은 만큼만 있다 가는 친구라서 이젠 나도 신경 안 씁니다. 느닷없는 청와대 소리만 빼면 다른 정신은 멀쩡해서 실은 아까운 폐인입니다. 가만 있자, 혹시 모르십니까? 저쪽에선 상당히 유명한 인사인데."

그 다음에 나온 것이 그의 이름이었다. 고문의 후유증으로 시름시름 앓는다는 말은 나도 들었었다.

그는 불사신이 아니었다. 화가의 작업실에서 그를 만난 이후 나는 그를 알 만한 사람들한테 그의 소식을 물었다. 사실이었다.

지브란은 무슨 말을 숨기고 있는 것일까. 나는 왜 그 말에 무언가 숨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나는 지브란에게서 예언자의 잠언을 원하는지도 모른다. 그의 잠언이 난해하다는 것은 시대가 난해하다는 뜻이다. - 숨은 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