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데카르트......

Erszébet Baerveldt - René Descartes, Landgoed Endegeest Oegstgeest By Biccie - Own work, CC BY-SA 3.0, 위키미디어커먼즈


데카르트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4d4073b









악령은 아무리 교활해도 내가 실존하지 않았다면, 나를 기만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 나는 신체를 갖지 않을 수도 있는데, 신체는 환상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유는 다르다. "내가 모든 것이 거짓이라고 생각하기를 원했던 동안에도 그렇게 생각했던 나는 필연적으로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이러한 진리는 너무 강하고 확실하여 회의주의자들이 아무리 허황된 가정으로 뒤집으려해도 뒤집지 못한다. 따라서 나는 이 명제를 그토록 찾아 헤매던 철학의 제일 원리로서 주저 없이 수용하겠다."

데카르트 이후 철학자들은 대부분 인식론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데, 이러한 경향은 대체로 데카르트에서 비롯되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주장은 물질보다 정신을, 타인의 정신보다 나의 정신을(나에 대해) 더 확실한 존재로 만들었다.

데카르트는 ‘생각thinking’을 아주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생각은 의심하고 이해하고 개념을 적용하고 긍정하거나 부정하고 의지하고 상상하고 느끼는 정신 활동을 가리킨다. 이때 꿈속에 나타난 느낌도 생각을 표현하는 한 형식이다. 사유는 정신의 본질이므로, 정신은 언제나 생각하며 깊은 잠을 잘 때도 생각한다.

"나는 생각한다"라는 명제는 데카르트의 궁극적 전제다. 여기서 ‘나’라는 말은 논리적 차원에서 보면 잘못 사용된 예다. 그러니까 그는 "나는 생각한다"가 아니라 "생각들이 있다"라는 형식으로 자신의 궁극적 전제를 진술해야 했다. ‘나’라는 말은 문법적으로 편리하게 쓰지만, 이미 알려지거나 주어진 것을 기술하지 않는다.

『성찰』은 신체가 목이 마를 때 왜 정신이 슬픔을 느끼는지 논의하는 데 꽤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데카르트의 정확한 대답은 신체와 정신이 두 시계처럼 신체가 ‘목이 마름’을 가리킬 때 정신은 ‘슬픔’을 가리키도록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었다.

데카르트의 철학은 물질계 전반에 걸친 이론의 측면에서 엄격하게 결정론적 체계다.

따라서 데카르트주의자들은 자유의지에 관한 난점에 부딪친다. 데카르트의 인식론보다 데카르트의 과학에 더 많이 주목했던 사람들에게 동물이 자동 기계라는 이론을 확장하는 일은 별로 어렵지 않았다. 왜 인간에 대해 똑같이 말하지 않고, 결정론적 체계를 일관된 유물론으로 단순하게 만들지 않는가? 이러한 확장은 18세기에 실제로 일어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