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을 계속 읽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125/pimg_7905981334167681.jpg)
Hannah Arendt lecturing in Germany, 1955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660/83/coveroff/e442537153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660/83/coveroff/e572537153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712/69/coveroff/899415924x_1.jpg)
한나 아렌트가 초기 저작에서 분명히 했던 것처럼, 유대성과 유대주의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그녀의 정치적 입장이 점점 성숙해지면서 확실하게 보여주었듯이, 유대주의나 유대성 모두 반드시 시온주의를 받아들이는 쪽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Hannah Arendt,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51, 한국어판: 《전체주의의 기원》, 이진우·박미애 옮김, 한길사, 2006), 66; Rachel Varnhagen: The Life of a Jewish Woman(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4, 한국어판: 《라헬 파른하겐—어느 유대인 여성의 삶》, 김희정 옮김, 텍스트2,0 13), 216-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