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악스트 과월호에서 정지돈 작가가 쓴 크리스 크라우스의 소설 '아이 러브 딕' 독후감을 찾아 읽었다. 내 경우 '아이 러브 딕'을 어쩌다 발견하여 재작년에 읽었다.


영화 '생활의 발견' 예고편 https://youtu.be/jRoMP3F1a9I


『아이 러브 딕』은 환상적인 소설이고 올해 읽은 최고의 작품이며 내가 1950년대에 미국에서 태어난 이성애자 백인 여성이었으면 삼십대 후반에 썼을 법한 작품이다. 그러므로 이 소설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조금은 유사-자기애적이면서도 가상-평행 우주적인 일이 될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까지 하진 않을 생각이다.

『아이 러브 딕』은 실험영화를 만드는 서른아홉의 크리스 크라우스와 그녀의 남편이며 뉴욕의 대학교수인 쉰여섯의 실베르 로트링제의 이야기다. 소설은 그들이 최근 멜버른에서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영미문화 비평가 딕과 저녁 식사를 하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알 수 없는 매력을 지닌 카우보이 유형의 지식인에게 홀딱 빠진 크리스와 실베르는 기이한 방식으로 새로운 관계를 꿈꾼다.

편지와 일기 형식으로 틀을 만들고 섹스 판타지와 문화이론, 철학, 미술사와 미학으로 속을 채운 이 소설은 출간되자마자 세상에 다시없는 쓰레기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일약 컬트 클래식으로 추앙받는 지금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평가다. 왜 그런 말을 들었을까? 금기를 위반해서? 페미니즘 소설이라서? 페미니즘 소설인 척해서? 지식을 나열해서? 아방가르드적 엘리트 의식에 취해 있어서?

이 가학적이면서 피학적이고 장난기 넘치고 시종일관 이죽거리면서도 열정으로 폭발하는 소설의 핵심은 뭘까. 관계는 깨지기 마련이며 인간의 욕망은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나 사드의 작품에서처럼 허영과 성욕, 착각과 지배욕, 망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일까. 아니면 사랑이니 부부관계니 불륜이니 하는 것은 모두 장치에 불과하고 일종의 지적 유희만이 글로 쓰일 가치가 있다는 뜻일까.

홍상수의 영화 〈생활의 발견〉에 나온 유명한 대사 "우리 사람은 못 되어도 괴물은 되지 말자"는 『아이 러브 딕』에 와서는 역전된다. 우리 사람은 되지 말고 괴물이 되자. 미친 괴물들이야말로 세계를 더 진실하게 만드는 존재이니까. - 정지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