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바조, 이중성의 살인미학'(김상근 지음) 중 ‘부록1 카라바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가 출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테네브리즘 [Tenebrism] (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4368&cid=42635&categoryId=42635

영화 '카라바지오' 예고편 * 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8346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은 3차원의 세계를 2차원 평면에 재현하는 ‘눈속임Trompe-l’oeil’을 원근법과 명암법으로 해결했다.

다 빈치의 명암법을 총괄해 키아로스쿠로라고 표현한다. 3차원적인 사물의 입체 관계를 명암의 조절을 통해서 2차원 공간에서 표현하는 방식이다. 카라바조는 ‘어둠의 방식’인 테네브리즘을 통해 키아로스쿠로 명암법을 완성시켰다.

카라바조는 2차원의 평면에 다시 3차원의 ‘깊이’를 부여한 최초의 서양 화가다. 명암법의 귀재로 알려진 렘브란트는 카라바조의 가장 유명한 추종자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카라바조에 대한 이해 없이 렘브란트 작품의 깊이를 말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카라바조가 없었다면, 아니 카라바조가 좀 더 오랫동안 살아서 작품활동을 했다면, 바로크 예술사는 아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다. 테네브리즘을 통해 서양 미술은 고전적 깊이를 획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