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젊은작가상 작품집에 수록된 작가노트와 작품해설의 일부이다. 


언제나 떠나고 싶으면서도 떠나지 못하는 여자애가 내 머릿속에 떠올랐다. 그애는 왜 떠나지 못하고 있는 걸까. 그리고 그 여자애를 가로막고 있는 바다를 떠올렸다. 이 소설은 그 바다의 이미지에서 시작됐다.

이제 나는 어디로 가나.

나는 간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면서 배낭을 메고 가볍게 걸어가는 떠돌이처럼.

그건 내 오랜 꿈이었다. - 최은영

간단히 말하면 「쇼코의 미소」는 할아버지로 대변되는 가족관계의 굴레에 가로막혀 있을 뿐 자기 안에 특별한 가능성이 있음을 의심치 않던 주인공이 자신의 평범함을 깨닫게 되는 이야기이다.

소유는 이제 막 자신이 가족 내지 천변의 작은 마을이라는 좁은 세계 안에 갇혀 있었음을 자각했다. 그것은 아렌트(Hannah Arendt)적인 의미에서 사적 영역에 해당한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인 그 안에는 타인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쇼코의 미소」가 보여준 성장 서사가 이만큼이나 우리를 잡아끄는 것은 아마도 그것이 근대 이후 우리 사회가 밟아온 과정을 응축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양재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