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희의 '흉가'를 낭독으로 들었다. 최정희의 딸인 김채원 소설집 속 어머니가 자꾸 연상되었다.


'여성과 문학의 탄생'(심진경) 중 '제2장 여성작가로 산다는 것 - 최정희 문학을 통해 본 ‘여성’의 연기(演技)와 구성'으로부터 옮긴다.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South Hamgyong province in North Korea numerous villages were affected by flash floods in July 2012 which destroyed hundreds of homes.] By Devrig Velly EU/ECHO European Commission DG ECHO - Flickr: North Korea: Daily life remains a struggle, CC BY-SA 2.0 최정희는 함경도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최정희 - 가난과 모성(장석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60XX69100047




「흉가」는 가족 부양의 의무를 진 지식인 여성의 삶에 대한 공포와 고통을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정과 심리"* 로 그려낸 수작이다. 소설은 겉보기와는 다른 삶의 진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세보다 싼값에 이사 간 아름다운 집이 사실은 전 주인 내외의 비극(비명횡사와 광기)을 품고 있는 ‘흉가’라는 사실은 ‘나’의 폐병 발병과 겹쳐지면서 돌연 ‘나’를 불안에 빠뜨린다. 이 순간 모든 낯익은 것은 낯선 것이 되어 ‘나’의 지각과 인식을 교란한다. 그 결과 모든 사물과 현상은 ‘나’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데, 소설에서 ‘탈바가지’는 그런 낯익은 두려움(the uncanny)을 불러일으키는 대표적인 사물로 제시된다. * 김윤식, 「인형의식의 파멸 — 여성과 문학」, 『한국문학사논고』, 법문사, 1973,246쪽 - ‘또 한 겹의 탈’ 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