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는 지금껏 자신과 무관하게 흘러가던 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만들어내기 위해 행동하기로 결심하고, 장이 주도하고 있는 레지스탕스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그녀는 드디어 자신이 “외톨이가 아님을, 공허한 하늘 아래 무익하고 쓸모없는 존재가 아님”을 깨닫게 되고 그로부터 커다란 기쁨을 맛보기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그녀가 맛보고 있는 이러한 기쁨은 바로 타인의 자유에 대한 존중 속에서 자신의 자유가 확장되는 것을 경험한 실존 주체가 경험할 수 있는 감정에 다름 아니라 할 수 있다.


장과 엘렌이 경험하고 있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통해 보부아르는, 인간존재가 실존적 불안에서 벗어날 수 없는 한 자기기만은 숙명적이라 할 수 있지만, 동시에 그것은 윤리적 노력에 의해 충분히 극복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10540 시몬 드 보부아르의 『타인의 피』 : 자기기만 개념에 대한 윤리적 재해석, 강초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