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비적 문건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을 1990년대에 번역했던 임옥희 교수가 학술지 '여성문학연구'에 게재한 해러웨이 선언문(2019) 서평으로부터 일부 발췌한다(사회주의 페미니즘 부분은 별도의 페이퍼로 옮겨 두었다). 이 서평은 작년 11월 말에 나온 임옥희 교수의 저서 '팬데믹 패닉 시대, 페미스토리노믹스' 1부 4장에 수록된 것으로 보인다(아래 목차 참조).


1부 4장 반려종과 더불어 공생적 세계 짓기: 다너 해러웨이

인본주의에서 사이보그-견본주의로
근본 없는 패륜아들: 미러링과 마녀 되기
반려종과 더불어, 난잡한 친족 만들기
휴머니즘에서 퇴비주의로: 카밀 이야기


[20세기 후반에 나온 사이보그 선언 (1985)과 21세기 초반에 출현한 반려종 선언 (2003) 사이에는 20년에 가까운 시차가 있다. 사이보그 선언문이 레이건 체제 아래 나온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선언문이라고 한다면, 반려종 선언은 9.11을 경험한 부시정권 아래 등장한 선언문이었다. 


두 선언문 사이 세기가 바뀌었다. 동구 공산권은 무너졌고, 고삐 풀린 자본주의는 의기양양하게 ‘역사의 종언’을 고했다. 사회가 급속하게 변화한 만큼 두 선언문 사이에 이론적 편차는 상당하다. 기술과학 시대의 사변적 유토피아를 상상했던 사이보그 선언과 그와는 대척점이라고 할 수 있는 생명정치 윤리에 바탕 한 반려종 선언을 함께 묶은 의도가 바로 그런 편차를 보여주려는 것은 아닐까?] 인본주의(Humanism)에서 사이보그-견본(犬本, caninism)주의로: ꠓ해러웨이 선언문ꠗ(책세상, 2019)에 관해 - 임옥희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30732895


언론 서평은 학술지 서평과 차이가 있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902481.html (임옥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