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홉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이 제목과 주요 모티브를 제공하고 그 외의 많은 디테일이 쌓여 촘촘하게 쓰였다. 류보선의 작품해설 '식별 불가능한 세계의 발견과 그 의미'로부터 옮긴다.


다음 링크는 하성란의 이 단편으로 만든 라디오드라마로서 마지막에는 작가와 전화연결도 한다. https://archive.org/details/podcast_jongyeong-radio-dogseosil_0412il-gaereul-derigo-danineun_1000339838799


Lady with the Dog, 1903 - Konstantin Somov - WikiArt.org



겉으로 드러나는 하성란의 소설의 특이점은 여럿이다. 현재형 문체(초기의 경우), 현미경적 묘사, 말하지 않기 혹은 집요한 보여주기, 이름없는 인간들과 이름이 선명한 사물들, 도플갱어 모티브 혹은 분신 모티브, 동명이인 모티브, 그리고 최근에는 맛에 대한 히스테리적 집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P412


하성란의 소설은 특이하게도 서사화에서 인간의 감옥 혹은 죽음을 발견한다. 한 사람의 삶이 과거에 있었던 몇 개의 사건을 중심으로 서사화되는 순간, 그 순간 그 개인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과 나누어 가질 수 없는 그만의 비교 불가능하고 대체불가능한 고유성의 흔적들은 모두 사라진다고 믿는다. 서사화란 곧 상징 질서에 집어삼켜지는 과정에 불과하며 그것이 이루어지는 순간 그 개인은 대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순종하는 신체로 전락한다. 그런 까닭에 하성란의 소설은 서사화될 수 없는 것들에 집착하는 한편 서사화되면서 사라진 희미한 그림자들, 맛들, 아우라들을 복원하고자 혼신의 힘을 다한다. - P412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나레이션이 없는 흑백화면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역시 이제까지의 하성란 소설이 그러하듯 인간의 개별성 모두를 집어삼키는 상징 질서와의 처절한 쟁투가 있다.

정작 중요한 것이 덜 말해진 느낌을 준다. 우리에게 익숙한 소설의 문법에 기대어보자면, 적어도 무언가가 하나둘은 더 있어야 한다. - P413


아주 쉽게 사랑이라 획정하여 제도의 틀 안에 포획시키거나 역시 쉽게 획정하여 누군가에게 결정적인 불행을 안기려고도 하지 않는다. 다만 이 식별 불가능하고 결정 불가능한 상태를 자신의 감정의 출발점으로 삼아 그 식별 불가능하고 결정 불가능한 그것에 그녀 자신을 맡겨두려 한다. - P414


하성란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하성란의 소설이다. 그런 까닭에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말할 바를 분명하게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에 말하고자 하는 바가 없는 것은 아니다. 꼼꼼히 읽어보면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어떤 담론이나 이야기에 당연히 배제될 수밖에 없는 각 개인들의 마음의 무늬 혹은 마음의 섬세한 파장들을 집요하게 묘사한다. 그리고 그를 통해 이곳에 사는 우리들은 결코 순종하는 신체들이 아님을 증명하고자 한다. (류보선) - P4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