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입한 전자도서관에 베케트의 '고도우를 기다리며'라고 있다. 박영사 2001년 12월 출간으로서 전자책은 2004년 3월 날짜이다. 이 전자책이 유통되고 있지는 않다. 역자는 원로 영문학자 홍복유 박사머리말 날짜가 무려 1969년! 뒤에 심지어 1958년에 쓴 역자후기가 있다.


[「고도를 기다리며」가 출판돼 나온 것이 1958년 11월이었다. 그 때에는 독자의 반응이 기대에 어긋났고, 책은 절판이 되어 오늘날까지 11년이 경과하였다. 그 동안 젊은 학도들이 이 책을 꾸준히 찾기는 했으나 극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이제 베케트가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되고 보니, 사방에서 이 책을 찾고 출판사의 권유에 못 이겨, 다시 출판하게 된 것이다. 이것을 계기로 베케트가 재음미·재검토되어서 독자들이 참된 인간의 모습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 이상의 만족이 없을 것이다.] 출처:머리말 * 제목은 '고도우'지만 본문은 '고도'로 표기되어 있다.


[베케트(Beckett)는 아일랜드 사람으로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살았고, 1945년에 불어로 글을 쓰기 시작하였다. 이 「고도를 기다리며」라는 2막의 희비극은 불어로 원명이 “En Attendant Godot”인데 그가 친히 영어로 번역해서 Waiting for Godot라고 한 것이다. 


이 짧은 연극이 처음으로 상연된 것은 1952∼3년에 프랑스 Paris의 바빌론 극장(Theatre de Babylone)에서였다. 그것이 영국 London에서도 상연되었고, 내가 이 연극을 본 것은 1956년 5월 미국 New York에 있는 Golden Theatre에서였다.] 출처: 역자후기


지금도 읽을 수 있는 문예출판사판이 바로 이 홍복유 박사의 번역이다. [1953년 1월 초연한 이래 현대 연극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희곡 작품으로 1969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뉴욕과 런던에서 현재까지도 꾸준히 공연이 이뤄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1969년 초연한 이후 40년이 넘게 무대에 올려지고 있다. 


베케트 자신이 영어로 펴낸 《Waiting for Godot》(1953)를 텍스트로 삼아 우리말로 번역한 이 책은 실제 무대에서 배우들이 연기하는 현장감이 살아 있어 약속된 희망의 등불이 좀처럼 나타나지 않지만 포기할 수 없는 현대인의 절망적인 운명이 잘 드러나 있다.] 출처: 문예출판사 '고도를 기다리며' 책 소개


베케트는 '고도를 기다리며'를 불어로 먼저 쓰고 직접 영어로 옮겼는데 두 원고가 같지 않다고 한다. 베케트 본인에게는 이 작업이 번역이 아니라 언어를 바꿔 다시 쓰는 일이었으리라. 그러므로 불문학자가 번역한 불어판과 영문학자가 번역한 영어판 둘 다 존재하는 것이 정당하고 바람직하게 여겨진다. 


문예출판사 책 소개에도 그리 나오지만 우리 나라에서의 '고도를 기다리며' 초연은 베케트가 노벨문학상을 탄 1969년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그 전에 이미 공연했다는 보도가 있는데, 그 때 '고도우를 기다리며'라는 제목의 홍복유 역본으로 했다고 한다. 


['고도를 기다리며' 국내 첫 공연은 1961년 입력 2006. 5. 4. ](경향신문) https://v.daum.net/v/20060504210109458?f=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