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톨스토이의 부활은 1914년 최남선이 발행한 청춘 제2호 ‘세계문학개관’이라는 표제 하에 처음 소개되었다. 갱생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부활은 번역이라기보다는 최남선이 톨스토이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함께 부활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짧게 요약한 것이다.


1909년부터 신문관에서 출간한 서양 소설 번역 단행본 7종 중 1918년 마지막으로 출판된 것이 톨스토이의 부활을 번역한 해당화이다. 이광수와 함께 상하이 임시 정부와 흥사단 활동을 같이 한 박현환이 번역한 해당화는 최소한 3판 이상이 발행되었고, 1920~30년대까지 독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영향력을 발휘했다.


해당화 이후 부활은 1920년대 초 춘계생이라는 여성 번역가에 의해 다시 번역되어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는데 이 춘계생이라는 번역가는 연재 예고에서 기존 부활 번역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피력한 점이 눈에 띈다.]톨스토이의 『부활』 번역 읽기, 그 100년의 차이- 등장인물과 서사구성을 중심으로(201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35984 '나보코프 러시아문학 강의'를 번역한 이혜승 교수의 논문이다.

 

https://blog.naver.com/bookgram/120120051388 춘원 이광수의 부인 허영숙(호가 춘계)이나 이광수가 부활의 역자 춘계생일 수 있다는 추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