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초반부의 ‘놀면서 지내는 삶은 이미 전생에 정해져 있다’는 의문에 해답을 제시하지 않고 그대로 남겨둔 데서 연작의 가능성을 포착한다. 연작으로 이어진「춘분 무렵까지」에서는 신분이 다른 다양한 유민이 등장한다. 이는 전작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푸는 의미로 본다. 


고등유민의 주제로 보면 「그 후」는 텍스트의 경계를 너머 「춘분 무렵까지」로의 연작으로도 읽기 가능하며, 작가는 시간의 흐름 속에 인간성이 상실된 인물을 등장시켜 사회 비판을 한다고 해석한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ebe923190df5dff1ffe0bdc3ef48d419&outLink=N (이혜경)


[당시의 신문 미디어에서 “고등유민”은 사회주의라는 “위험사상”을 가질 수 있는 “주의인물”로 간주되었다. 이 논문은 이 소설의 등장인물의 역할분담이 어떻게 대역사건에 대한 신문 미디어의 담론을 상기시키고 비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 소설이 후반부의 주인공인 스나가가 소설 속의 부르주아 신사계급의 동질성에 균열을 가하는 서사를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사회주의 사상의 핵심적인 문제인 계급적 갈등을 사회주의 '겨울의 시대'에 소세키는 서사화하고 있었던 것이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7867 (곽동곤)


"여유라니, 자네. 난 어제 비가 오니까 날이 좋을 때 다시 와달라고 자네를 거절하지 않았나? 그 이유를 지금 말할 필요는 없겠지만, 아무튼 그렇게 멋대로 거절하는 법이 세상에 있다고 생각하나? 다구치라면 절대 그런 식으로 거절하지 못할 걸세. 다구치가 기꺼이 사람을 만나는 게 왜라고 생각하나? 다구치는 세상에 추구하는 바가 많은 사람이라 그런 거네. 다시 말해 나 같은 고등유민*이 아니기 때문이지. 아무리 남의 감정을 상하게 해도 난처하지 않다는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네."

*소세키가 만든 말로 ‘그 후’에도 나온다. 대학을 나와서도 직장을 얻으려고 하지 않고 직업 때문에 마음을 더럽히거나 안달하지 않는, 여유로운 시간을 가진 사람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그 후’의 다이스케처럼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 무리를 해서 먹고살기 위한 직업을 가질 필요가 없는 지식인을 말한다. - P1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