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가 수록된 김소진전집 4권 '신풍근배커리 약사'에 실린 문학평론가 손정수 교수의 해설 '소진의 미학'은 손정수 평론집 '뒤돌아보지 않는 오르페우스'에도 수록되어 있는데 그로부터 일부 옮긴다.
cf. 고 김소진의 부인이었던 함정임 작가가 고인의 마지막 나날들을 기록한 글 '동행'이 책 '서정시대'에 실려 있다.
변두리 콤플렉스란 애초에 부여된 밑그림대로 삶을 살 수 없었던, 그 연필 자국 위에 끊임없이 짙은 색으로 덧칠을 하여 살아올 수밖에 없었던, 그 덧칠에도 불구하고 더욱 선명하게 연필 자국이 돋을새김되어 있는 자기 삶의 어두운 밑그림을 확인할 수밖에 없었던 어떤 운명에 붙여진 이름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그것은 글쓰기 의식의 유력한 근거 가운데 하나가 아니겠는가. - P136
그런데 지금 산동네가 사라진다는 것, 그것은 기억이 허구임을 증명하는 셈일 테고 나아가 아직 다른 차원으로 정립되지 못한 ‘나‘의 존재의 한 축을 허무는 것에 해당된다. ‘나‘가 떠올릴 수 있는 기억의 눈사람 속에 들어 있던 깨진 검은 항아리밖에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아버지도, 어머니도, 장석조네 사람들도 아닌 단지 그 사건. 그것은 곧 기억의 글쓰기의 막다른 골목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것은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가 기억의 글쓰기의 최종 지점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 P141
삶의 종말을 통해 기억조차도 잊겠다고 말하는 이 순간 그는 기억과의 힘겨운 싸움에서 비로소 벗어나기에 이른다. 바로 이 지점에 모든 것을 쏟아내고 동시에 그것들이 관계하고 있던 현실조차도 일시에 초월하여 투명하게 빛나는 ‘소진의 미학‘이 놓여 있다. - P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