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출선 : 물질1원심을 고온으로 만들었을 때 그 원소 특유의 파장 빛.
·흡수선: 광원과 관측자 사이에 어떠한 원소가 존재하면 그원소는 방출선의 파장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그 파장의 빛만 관측자에게 도달하지 않게 된다. 이를 흡수선이라고 한다.
•외계 행성 : 태양계 바깥에 있는 행성. 주로 태양을 제외한 항성의 주위를 도는 행성을 말한다.
-페가수스자리 51 b는 주계열성의 주위에서 처음으로 발견한 외계 행성.
- 외계 행성의 이름을 중심별을 으로 잡고 발견한 순서대로 b. c, d...로 이름 붙인다.
-외계 행성을 찾아내는 방법.
1) 도플러 분광법 : 외계 행성이 중심별의 주위를 돌면 중심별은 행성의 중력에 이끌려 위치가 살짝 이동한다. 그 흔들리는 모습을 포착함으로써 행성의 존재를 추정한다.
2) 트랜싯법 : 지구에서 봤을 때, 외계 행성이 중심별의 앞을 지나면서 중심별을 가려 살짝 어두워지는 모습으로 외계 행성의 존재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3) 케플러 : 외계 행성을 찾기 위해 NASA가 쏘아 올린 탐사 위성이다. 트랜싯법을 써서 외계 행성을 찾는다. 케플러가 발견한 외계 행성은 2500개가 넘는다.
4) 직접 촬영법 : 아주 약한 외계 행성의 빛을 직접 포착하는 것 행성의 밝기와 온도, 궤도, 대기 등 중요한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어서 외계 행성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된다.